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213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Rooms can make borders to draw lines among thoughts and way of life. At least when I walk into a room, I wish to be free from physical and psychological interference from others. Rooms tend to be extremely private spaces with qualities of individuals including history, personality, social status and taste. I personally relate rooms to “The Eighth Day of the Week” by Marek Hlasko. The heroine, Agneska yearned for a space for herself throughout the novel, and the message often brings me back the memory of my younger days filled with loneliness. This may explain why I am familiar with images of rooms that are shabby and narrow, rather than those overflowing with confidence – small spaces, filled with loneliness and aged with time. These rooms were means for survival – spaces with limited elements that are to be shared with someone less than comfortable (though that is one of family members). These days, however, celebrities open up their nicely decorated homes and rooms through TV or magazines, competing one another to show off refined or fancy images of theirs. Whether it is intended or not, these rooms are already part of display, misleading audience that goal of life is to own such refined and elegant spaces. By conventional wisdom of today, however, such may not be a misconception any more.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남 장성, 2011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성수 좌포리 ,2011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성수 좌포리2 ,2011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진안 강정마을, 2011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진안 강정마을3, 2011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진안 계남마을, 2010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진안 계남마을1, 2011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진안 동신마을, 2011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진안 등평마을, 2011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진안 방화마을, 2011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진안 상백마을,2011
  • ⓒ김지연 Kim, Jee Youn
    낡은 방 Rooms that Aged with Time 전북 진안 상백마을2, 2011

낡은 방


생각이나 삶의 방식에 있어 방은 모든 것의 경계 일 수 있다. 방 안에서의 나는 타자의 물리적이나 정신적인 간섭에서 자유롭고 싶다. 방은 극히 사적인 공간으로 개인의 역사와 성격과 신분과 취미 등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그래서 젊은 시절엔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한 방편으로 상대의 방을 들여다보고 싶어지기도 한다.
그런데 나는 방이라고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마렉 플라스코의 <제8요일>에서 여주인공 아그네시카가 간절히 원했던 방 한 칸의 의미가 내 젊은 시절의 암울한 기억으로 대치되곤 했다. 그래서 내가 무의식적으로 생각하는 방은 작고 우울하고 낡은 방으로 당당한 기억보다 옹색하고 초라한 방이었다. 어쩌다 간간히 햇빛이 들어오는 작은 창문에 분홍이나 보라색 싸구려커튼이 쳐 있고 그것도 혼자만의 방이 아닌 불편한 누군가(그것이 가족이라 하더라도)와 같이 살아야하는 최소한의 생존을 의미했다.
그런데 요즈음 유명 연예인들의 경우 TV나 잡지에 소개되는 멋진 집과 방을 통해서 세련되거나 화려한 이미지를 다투어 보여주고 있다. 이럴 경우 의도하던 안하던 간에 방은 이미 연출되어진 상품으로 전달되고 그 로 인해 삶의 목적이 우아하고 세련된 방을 소유하는 것으로 착각을 일으키기도 한다. 어쩌면 현대 사회적인 통념상 그것은 착각이 아닐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방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살려는 희망에서 시작되고 그 희망이 현실이 되어 즐겁거나 서러운 경험을 겪어낸 살갗처럼 한 몸이 되어 있다. 그래서 낡은 방은 낡은(혹은 늙은) 사람들의 기억이 켜켜이 달라붙어 있어 그 안에 있는 가족사진, 가훈, 십자가, 그리고 벽과 천정의 무늬 거기에 붙은 파리똥까지 그 속에 살고 있는 사람의 숨결이 전달된다. 나는 의도적으로 그들의 얼굴을 외면했다. 방의 의미가 사람의 감정이 담겨진 얼굴을 통해서 전달되지 않고 방 자체로 보여줌으로서 보다 더 많은 정보를 얻고자 했다.
그러나 문득 남의 방문을 열어 제치며 그들의 속살을 적나라하게 들추어내려는 공격자의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닌가하고 조심스러운 때도 있었다. 그런데 그 낡은 방에 붙어 있는 가족사진과 그 유대관계는 어느 무뢰한 침입자에 의해서도 휘둘리지 않는 견고한 시간이 굳건히 자리 잡고 있었다. 죽은 배우자와 함께 나란히 벽에 걸린 사진, 자녀의 오래전 결혼사진, 열렬한 팬의 입장에서 간직하고 있는 손자들의 브로마이드, 몇 년이나 벽에 그대로 붙어 있는 인조 카네이션, 숫자판이 큰 유선전화기, 파리채, 낡은 TV 등. 이제는 큰 소망을 꿈꾸지 않는 원색적인 삶의 단순함이 외로움을 넘어 희화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제 그 방을 소유한 한 사람의 단순한 개성이 아니라 그 가족의 기록을 담고 있는 가족사의 증거였다.
낡은 방은 어떤 새로운 방보다 많은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다. 새로운 방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낡은 방이 되고 그 방은 주인과 함께 소멸되며 또 다른 새로운 방이 생긴다. 그러면서 화석 같은 시간이 중첩되어 간다. 모든 사사로움은 한 시대의 풍조나 사조로 가름되고 세상의 무게만큼 중요했던 인생사의 사랑이나 그리움은 낡은 방의 사진처럼 박제된 형상으로 기억된다.

김지연

Rooms that Aged with Time


Rooms can make borders to draw lines among thoughts and way of life. At least when I walk into a room, I wish to be free from physical and psychological interference from others. Rooms tend to be extremely private spaces with qualities of individuals including history, personality, social status and taste. I personally relate rooms to “The Eighth Day of the Week” by Marek Hlasko. The heroine, Agneska yearned for a space for herself throughout the novel, and the message often brings me back the memory of my younger days filled with loneliness. This may explain why I am familiar with images of rooms that are shabby and narrow, rather than those overflowing with confidence – small spaces, filled with loneliness and aged with time. These rooms were means for survival – spaces with limited elements that are to be shared with someone less than comfortable (though that is one of family members). These days, however, celebrities open up their nicely decorated homes and rooms through TV or magazines, competing one another to show off refined or fancy images of theirs. Whether it is intended or not, these rooms are already part of display, misleading audience that goal of life is to own such refined and elegant spaces. By conventional wisdom of today, however, such may not be a misconception any more.

A story of a room starts with hope to start a new chapter with a loved one, morphing into reality to interlace joy and sorrow. Thus a room that has been aged with time is layered with memories of its owners that have aged and family photos, a piece of calligraphy that has family motto written, crucifix, walls, patterns on ceilings and even flyspecks hint at the air that the owner has been breathing in the room. I chose to avoid their face. My intention was to messages of rooms by revealing as are,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faces that hint at emotions. Otherwise I chose to take photographs of empty rooms to reveal their existence. From time to time I cautiously asked myself whether I was offensive that I opened the doors without notice and expose the owner’s bare skin. However, I learned throughout my work that their family photos and items that hint at close ties with their family remain intact of any reckless trespassers – these items include photos with late spouses, wedding photos of children that were taken many years ago, posters from grandchildren, plastic carnation bouquet that has been on the wall for years, corded telephones with large dials, fly swatter, and years-old TV. All of these items are added together to suggest crude and simple life that is already beyond loneliness, with almost no attempt to chase dreams any more in some burlesque tone. These rooms, at this point, are no longer spaces that are packed with tastes of owners. Rather, they transformed into storytellers to quietly tell stories of the owners and their families.

As these rooms age with time, they are adding layers of stories to tell – stories that newly created rooms cannot. These new rooms, with time, will wear out and later disappear to be replaced with new spaces. Throughout such life cycle, stories of the time pile up to make creatures like fossils. All things personal morph into trend of time, and in parallel, all love and nostalgia in life that weighed as much as the whole world turn into indelible memories, just like photos hanging on the walls of those rooms that aged with time.

Kim Jiyeon

생의 처음이자 끝, 낡은 방


전시기획자 송수정


집이 없다면, 인간의 존재는 산산이 흩어져 버릴 것이다. 집은 하늘의 뇌우와 삶의 뇌우들을 거치면서도 인간을 붙잡아 준다. 그것은 육체이자 영혼이며, 인간 존재의 최초의 세계이다. -가스통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중에서

낡은 방은 쓸쓸해 보인다. 평생을 살아낸 누군가의 삶의 이력이 이 방에 놓인 전부라고 생각하면 찬찬히 들여다보아야 할지 서둘러 눈을 거둬들여야 할지 고민스러워진다. 그 안에서 일정한 자리도 없이, 그러나 대개는 방 한가운데에 놓임으로써 의외의 존재감을 빛내는 것은 전화기다. 가느다란 선을 타고 바깥세상의 소식을 수혈하는 전화기의 존재는 이 방이 생각보다 쓸쓸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예감이 들게 한다. 물론 전화기는 주인장이 쇠락한 몸을 움직이는 속도만큼이나 더디게 울릴 것이다. 가끔씩만 울리는 전화기와 함께 그곳의 시간도 느리게 흐른다.
이 방 안에서는 달력만이 드물게 유통기한을 지니고 있다. 어쩌면 달이 바뀌고 며칠이 지나서야 달력 뒷장을 넘기며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을 알게 될지도 모른다. 어제와 오늘과 내일이 크게 다르지 않은 이 방에서는 정지된 사물들도 오랜 시간의 목격자로서 생명력을 지닌다. 생에서 도망쳐나가는 머리카락을 가두어 두기에는 너무 무기력해 보이는 성긴 빗, 검버섯이 피기 전의 얼굴을 소환해내기라도 할 듯 의외로 선연한 거울, 감추고 싶은 생의 비밀처럼 옷가지 위에 둘러쳐진 얼룩진 수건. 결국 방 안의 모든 사물들은 위로 아래로, 구겨진 구석으로 시선을 끌어당기며 이 공간에 압축되어 있는 세월과 추억들을 느리게 토해낸다. 그 기억은 생의 어느 특별한 날에 덧붙여졌을 벽지들만큼이나 여러 겹으로 포개져 있다.

낡은 방은 조금 쓸쓸해 보일 수 있으나 궁핍해 보이지는 않는다. 이 방의 주인장이 평생토록 일궈낸 찬란한 유산 덕분이다. 그 유산은 벽에 걸린 사진 속에서 빛을 발한다. 이 방에서 태어난 자식들이 학교를 졸업하고 혼례를 올리고, 다시 자식을 낳아 돌잔치를 하고 유치원을 보내는 한 가족의 위대한 역사가 사진들 속에 있다. 이 사진들이 버티고 있는 한, 낡은 방은 지상에서 가장 화려한 보금자리다. 텃밭에서 자라는 푸성귀보다 더 풍성한 얘깃거리를 제공하는 이 사진 속 주인공들은 가끔씩 공연한 죄책감에 전화기를 울리고, 외풍 많은 방 안에다 유행처럼 전기장판을 들여다 놓고 간다. 그들이 찾아오지 않는 날이 더 많은 방 안에서는 오직 플라스틱 카네이션만이 시들지 않은 채 긴 기다림을 버텨낸다. 어느 해인가 반갑게 찾아온 카네이션은 이곳에서의 생이 실패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상징물이다. 설령 관계가 소원해져 이제 더 이상 카네이션이 배달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 붉은 꽃은 따뜻했던 그 시절로 모든 기억을 붙잡아 둠으로써 현실의 상처마저 치유하게 만든다.

인문학자 김우창은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빌어 와, 시간과 공간이 사람의 삶과 우주 만물의 존재에서 기본 축을 이룬다고 말한다. 따지고 보면 평생토록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사람들이 행한 모든 일들은 집과 동네, 고향 같은 공간을 얻고 지키기 위한 노력이었다. 이토록 공간에 집착하는 이유는 그곳이 단순히 머무는 장소가 아니라 존재의 산실이기 때문이다. 그 장소에서 비로소 생이 시작되었다. 바슐라르가 ‘집의 내밀한 삶이 우주의 드라마와 연결되어 있다’고 한 것도 아마 집이라는 공간의 이러한 의미와 닿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공간이 시간의 덧없음을 붙들어 두는 닻이라 해도, 도시에서는 이제 모두가 떠돌이다. 시간에 쫓기다 보면 설령 공간이 있어도 머무르지 못한 채 유목민처럼 스쳐지나갈 뿐이다. 도시에서의 공간이 낡은 방보다 화려하지만 존재감이 가벼워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래서 낡은 방을 거쳐 간 도시의 부유하는 생에게 이 방은 영원한 그리움의 대상으로 남는다. 시집온 뒤 한 번도 낡은 방을 떠나 본 적이 없는 노모는 정작 아무런 미련이 없는데, 운명처럼 그 방을 떠난 아들의 마음이 까닭 모를 그리움에 젖는 것이야 말로 생이 우리에게 가르치는 부조리함이다. 낡은 방은 소유와 관계라는 생의 모든 거추장스러운 무게를 내려놓게 한다. 그곳은 우리가 태어난 그리고 언젠가는 돌아갈 존재의 자궁이다. 김지연은 그렇게 우리를 낡은 방으로 불러들인다.

The Beginning and End of Life – Rooms that Aged with Time


In the life of a man, the house thrusts aside contingencies, its councils of continuity are unceasing. Without it, man would be a dispersed being. It maintains him through the storms of the heavens and through those of life. It is body and soul. It is the human being's first world.

- Quoted from “The Poetics of Space” by Gaston Bachelard

As a room aged with time, it looks forlorn. If it occurs to me that this room can tell every story of life, then I start asking myself whether I should stop by and take a closer look or walk away from it. It is mostly the telephone that unexpectedly shines through at the center, with no particular space to be designated. It makes me feel that the room may not be as forlorn as I think, connecting with outside world by having news delivered through its thin cord. Clearly, the telephone rings at a slow pace – the pace similar to its owner who is withering with age. With the telephone that rings every once in a few while, the time flies tediously.

The calendar is one of the few items that are past its expiration date. It is likely that the owner flips the calendar page only after several days passed for the new month, and realizes that the time flies.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from yesterday to today, and from today to tomorrow in the room, but every item in the space is indeed viable as a witness of many years of history behind the owner. A sparse toothed comb that look too helpless to behold strands of hair running away from life; unexpectedly clear mirror that is ready to bring faces laced with age spots any time; and stained towel over clothes, as if to cover up personal secrets from life – all of the items including these, after all, slowly yet steadily tells stories and memories behind the room that have built up with time, taking eyes from top to bottom and from one corner to another. The memories have been layered, just like the wallpapers in the room that were pastered on special days in life.

Astonishingly, the rooms that aged with time may have some forlorn look but not a hint of poverty. This is thanks to brilliant legacy that the owners have built throughout their lives. The legacy shines, in particular, through the photos hanging on the walls – these photos quietly tell stories behind their families – birth, graduation days, wedding ceremonies, first birthdays of their grand children and these grand children growing up to start their kindergartens. As long as these photos stay around, these rooms will remain to be the most luxurious home to dwell in. The subjects of the photos are ready to tell stories that are richer than greens that grow in the vegetable garden in the backyards. And from time to time, they make phone calls out of groundless guiltiness and drop by to somewhat unanimously lay electronic blanket on the coldest parts of the room. The rooms, however, are rarely visited by the subjects of the photos, and it is the plastic carnation bouquets delivered for Parents Day gift that are not withering to carry on throughout many days of waiting. These carnations were welcomed in one day and silently hint that lives in these rooms are not failure at all. Even though relationship became somewhat sour that carnation bouquet are not delivered any longer, these scarlet-colored flowers bring the owners of the rooms back to the days filled with warmth to lift them up and live through scars and wounds from reality.

One of the humanities scholars, Kim Woochang quoted from Heidegger’s “Being and Time” to explain that time and space make the basic pillars for all beings in human life and the universe. In a sense, all activities conducted by the owners of the rooms in their entire life have been about ceaseless efforts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homes and communities. They had near-obsession for their spaces because the spaces have been more than shelter – they have been cradles of all beings. Indeed, all lives have seen their beginning in these rooms. This possibly lies on the similar extent with Gaston Bachelard’s view towards the house as a sort of initial universe, stressing that “all really inhabited spaces bears the essence of the nation of home” in his book titled “The Poetics of Space”.

Even though spaces anchor transience of time, everyone in a city is, after all, are leading nomadic life. Because if one feels pressured in a fast-paced urban life, one would not be able to squeeze in a few minute to stay in a space, but pass by like a nomad. This may explain that spaces in cities tend to luxurious yet light in being, in comparison with the rooms that have aged with time. For beings that passed by these rooms in the past and buoying in the cities today, these rooms that have worn out with age remain as nostalgic spaces. The mothers who have never left their spaces since the time they married don’t express much about how they feel, but the ones who left find themselves in unknown nostalgia – this is indeed a paradox that we learn from life. These rooms make us unload weighty burden from relation between procession and relationship in life. The rooms, after all, are the wombs of all beings that have marked the beginning and would welcome for return later in life. The artist, Kim Jiyeon is inviting us to these rooms now.

Song Sujeong, independent curator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