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2017 11
2017.08.29 17:32

박하선 Ha-seon Park 초대전

조회 수 92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제목 太王의 증언, 고구려 Great King's Attestation, Goguryeo
전시기간 2017. 9. 5 ~ 11. 5
전시장소 광주시립사진전시관 Gwangju Museum of Photography - Gwnagju
오프닝 2017. 9. 5.(화) 오후 5시
작가와의 만남 2017. 9. 28.(목) 오후 3시
갤러리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60 문화예술회관 별관 / Tel : 062-613-5405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artmuse.gwangju.go.kr
관람시간 10:00~18:00 (입장은 관람종료 30분전까지)
※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날 10:00 ~ 20:00 , 2시간 연장
휴관일 매주 월요일과 1월1일, 추석·설날 당일 휴관
주최 광주시립미술관
There were states that ruled over the continent and wielded th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Those countries such as BaedalHankuk and Dangun Joseon acted as driving forces in ancient times. Due to our indifference, we have become out of touch with the narratives about those lands. There was also another empire in the wake of those nations. Everyone who is Korean knows of the country that was once called Goguryeo. Just how much do we know about it? We only have superficial knowledge about this country that we have been learning about since our childhood. We often pretend to know everything there is to know about Goguryeo after visiting only a few of the historic sites that are scattered across Manchuria. It is often said that history is a story told by the winner but even this history is becoming distorted and erased as time slips by. Thus, hypocrites have triumphantly lived in a world where the historical truth is often buried and fabrications abound. As a result, we cannot help but be concerned about our perception of history.
  • ⓒ박하선 Ha-seon Park
  • ⓒ박하선 Ha-seon Park
    건안성 pigment art print 111x168cm 2015
  • ⓒ박하선 Ha-seon Park
    지안(集安)에 있는 고분5회묘 벽화 pigment art print 111x157cm 1996
  • ⓒ박하선 Ha-seon Park
    광개토대왕비 비문 1면의 일부 pigment art print 163x111cm 2012
  • ⓒ박하선 Ha-seon Park
    역사의 땅 pigment art print 111x146cm 2005
  • ⓒ박하선 Ha-seon Park
    백암산성 pigment art print 111x230cm 2006
  • ⓒ박하선 Ha-seon Park
    백암산성 pigment art print 111x166cm 2010
  • ⓒ박하선 Ha-seon Park
    홀본성 pigment art print 111x168cm 2015
  • ⓒ박하선 Ha-seon Park
    강이식 장군 묘비 기단석
  • ⓒ박하선 Ha-seon Park
    낭낭산성
  • ⓒ박하선 Ha-seon Park
    안시성을 찾아가면서
  • ⓒ박하선 Ha-seon Park
    오골성 북문에서 바라 본 풍경
○ 광주시립미술관(관장 조진호)은 중견사진작가 초대 박하선展 “太王의 증언, 고구려”를 광주시립사진전시관에서 9월 5일부터 개최하며, 개막행사는 9월 5일(오후 5시) 열릴 예정이다.

○ 초대작가인 박하선 작가는 우리지역의 중견사진작가이자 독보적인 역사 다큐멘타리 사진가이며, 이번 전시에 전시되는 50여점의 작품은 박하선 작가가 10여년에 걸쳐 진행한 장기 프로젝트 “고구려”의 결과물로서 중국 요령지역부터 남쪽의 중원(충주)에 걸쳐진 귀한 유적지를 촬영한 사진이다.

○ 우리 역사의 뿌리를 추적하는 장대한 스케일의 사진작업을 알리는 이번 전시가 전국적으로 우리지역의 사진역량을 알릴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주시립사진전시관이 사진전문관으로서의 면모를 다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지구촌 오지의 현장을 누비며 인간의 삶을 기록하고, 고기(古記)에 남겨진 흔적을 쫓아 묻혀가는 역사를 일깨우는 일에 열정을 쏟아온 박하선 작가는 다큐멘타리 사진을 찍는 작업을 ‘천명(天命)’으로 여기며 언제든 전령을 받들기 위해 여장을 풀지 않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 이번 전시를 통해 보여주는 박하선의 고구려 프로젝트는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10년을 준비해 온 작업이지만, 첫 시작은 1996년 중국 탐사부터라고 볼 수 있어 거의 20년이 걸린 셈이다. 당시 촬영한 귀한 사진으로 「지안(集安)에 있는 고분 5회묘 벽화」(1996)를 전시장에서 만나 볼 수 있다.

○ 천연의 요새 「오골성(烏骨城)」(2016) 사진은 무너져 내린 성벽임에도 적들이 넘볼 수 없는 굳건함의 흔적을 찾아보게 만든다. 아직도 성의 외형을 아름답게 간직한 「백암산성(白岩山城)」(2010)의 자태는 광할한 대지에서 웅혼한 기운을 받는 우리 민족을 그리게 한다.

○ 이밖에 졸본성, 나통산성, 국내성 등 만주 벌판에 남아 있는 산성을 찍은 사진과 함께 ‘광개토대왕릉비’의 비문을 찍은 사진도 전시된다.

○ 박하선 작가는 장대한 계획으로 역사 다큐멘타리 사진작업을 시작했지만 역사 연구의 차원이 아닌 다큐멘터리 사진가로서의 본분인 사진적 진실 규명과 현장성에 무게를 둔다고 말한다.

○ 또한 “학술적 차원이 아니라 예술적 또는 기록적 차원으로 접근하는 것이 내 몫이다”라고 이야기 하는 박하선 작가는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에 앞서 무엇을 느끼게 할 것인가에 중심을 두고 사진을 찍는다”는 메시지를 전하면서 이번 고구려 프로젝트도 사라져가는 고대사의 흔적을 작가정신으로 남기고자 했음을 언급했다.

‘太王의 증언 - 고구려’ 작가노트


일찍이 대륙을 호령하며 한민족의 기상을 떨치던 국가들이 있었다. ‘배달한국’과 ‘단군조선’을 비롯한 상고시대의 주역들이다. 이들의 얘기는 우리들의 무관심으로 아득하기만 하다. 하지만 그 뒤를 이어 달려온 또 하나의 제국이 있었으니 우리는 그를 ‘고구려’라 말하고, 적어도 한국인이라면 그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그 고구려에 관하여 과연 얼마나 알고 있을까. 어린 시절부터 학교에서 배워 온 얄팍한 역사 지식이 고작이다가, 최근 시절이 좋아지다 보니 만주 벌판에 흩어져 있는 대표적 유적지 몇 곳에 점을 찍고서는 다 아는 양 어쩌고저쩌고 떠들어 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역사란 승자의 기록이고 그 기록조차 세월이 흐르면서 왜곡되고 멸실되기 일쑤다. 그러다 보니 역사의 진실은 묻히고 허구가 판치는 세상에서 위선자들이 의기양양하게 살아가고 있는 모습이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기에 우리들의 역사 인식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20여 년 가까이 만주벌판을 누비면서 그 흔적과 숨결을 더듬어 왔다. 아직도 부족한 점이 많지만 그때의 느낌들을 정리해 본다. 학술적 차원이 아니라 기록적 또는 예술적 차원으로 접근 해 왔다.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에 앞서 무엇을 느끼게 할 것인가에 주안점을 두었고, 우리가 모른 무언가가 있어 영혼들이 구천에서 아직껏 맴돌고 있다면 그 서러움에 대한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고 생각했다. 또 이야기는 있지만 눈앞에 남아있는 것이 없어 아쉬운 것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아는 것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았는가. 여기 있는 것들이 그렇다. 미진한 것이 있다면 그건 아직까지의 내 역량 밖이다. 역사는 항상 되풀이 된다고 했다. 이제 과거의 꿈을 통해 미래의 꿈을 키워나가야 한다. 기록된 역사는 거의가 승자의 편에 서있다고 하지만 사실 인간의 역사에서는 승자가 따로 없고 항상 미완성으로 이어가고 있다. 잊혀지고, 왜곡되고, 사라져 가지만, 하늘은 그 진실을 기억하고 있다. 고구려는 결국 영원히 ‘하늘이 기억하는 제국’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이를 ‘天年의 제국’이라 부르고, ‘太王의 증언’을 들으면서 위기에 처한 한민족의 각성과 도약을 꿈꾸어 본다.

Great King's Attestation, Goguryeo


There were states that ruled over the continent and wielded th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Those countries such as BaedalHankuk and Dangun Joseon acted as driving forces in ancient times. Due to our indifference, we have become out of touch with the narratives about those lands. There was also another empire in the wake of those nations. Everyone who is Korean knows of the country that was once called Goguryeo. Just how much do we know about it? We only have superficial knowledge about this country that we have been learning about since our childhood. We often pretend to know everything there is to know about Goguryeo after visiting only a few of the historic sites that are scattered across Manchuria. It is often said that history is a story told by the winner but even this history is becoming distorted and erased as time slips by. Thus, hypocrites have triumphantly lived in a world where the historical truth is often buried and fabrications abound. As a result, we cannot help but be concerned about our perception of history.

I retraced the vestiges and breaths of the Korean people as I traversed the whole of Manchuria for over 20 years. I know that my explorations are not good enough yet but I have organized what I felt through my research. My approach was not something academic but, rather, something chronicling or artistic. I place an emphasis on what I make viewers feel rather than what I try to display. I felt as though it was us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sorrow that lost souls went through. Also, I felt sorry about more than just a few things because their stories keep alive but no traces remain. It is often said that we can only see as much as we know. Things here are the same. Something incomplete is beyond the scope of my capability. It is often asserted that history always repeats itself. We have to foster our future dreams through our past ones. It is said that recorded history is on the side of the winner but there have been no winners in human history. Human history has always been unfinished. Some things are forgotten, distorted, or die out but the heavens remember the truth. Goguryeo shall remain forever as “the empire the heavens remember.” I dream of the awakening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leaps they might make in something I refer to as a millennial empire.

-Excerpts from the artist’s statement

박하선 Ha-seon Park




1954년 광주에서 출생.
1980년 ‘대양’展을 시작으로 ‘실크로드’(1990), ‘티벳’(1991), ‘문명의 저편’(2000),
‘천명(天命)’ 등 15차례의 개인전과 초대전을 가졌으며,
‘광복60년, 사진 60년-시대와 사람들’(2005), ‘2006 대구 국제사진비엔날레’ 주제전,
'한국현대사진 60년’(2008)을 비롯한 국내․외 다수의 그룹전을 가졌다.

현재 자유사진가로 활동하면서 많은 매체에 기고중이며, 여행집단 ‘문명의 저편’ 단장을 맡고 있고, 세계 오지 및 분쟁지역, 그리고 한민족 상고사 영상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며 ‘대하역사다큐멘터리’ 출판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작품집으로「삶의 중간보고서」(1999),「天葬」(2002),「문명 저편의 아이들」(2005),「천불천탑」(2007),「생명의갯벌」(2009),「오래된 침묵(Ancient Silence)」(2011),「발해의 恨」(2012)이 있다. 티벳의 장례의식을 담은 사진 ‘天葬’으로 ‘2001 World Press Photo 상을 수상했다.


TAG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