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78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제목 See the Unseen
전시기간 2015. 1. 23 ~ 3. 31
전시장소 BMW PHOTO SPACE, Busan
갤러리 주소 부산시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 299, MINI 부산 전시장(051-744-3924 / 051-747-8100)
작가 홈페이지 http://www.leejeonglok.com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bmwphotospace.kr
기타 오프닝 리셉션 2015. 2. 12(목) 18:00
  • ⓒ이정록 Jeonglok Lee
    Decoding Scape 01, C-type Print, 120x160cm, 2011
  • ⓒ이정록 Jeonglok Lee
    Decoding Scape 02, C-type Print, 120x160cm, 2011
  • ⓒ이정록 Jeonglok Lee
    Decoding Scape 17, C-type Print, 120x160cm, 2011
  • ⓒ이정록 Jeonglok Lee
    Decoding Scape 18, C-type Print, 120x93cm, 2011
  • ⓒ이정록 Jeonglok Lee
    Decoding Scape 19, C-type Print, 120x93cm, 2011
  • ⓒ이정록 Jeonglok Lee
    Decoding Scape 24, C-type Print, 120x160cm, 2011
  • ⓒ이정록 Jeonglok Lee
    Tree of Life #2-6, Pigment Print, 120x160cm, 2009
  • ⓒ이정록 Jeonglok Lee
    Tree of Life #3-1, Pigment Print, 120x160cm, 2010
  • ⓒ이정록 Jeonglok Lee
    Tree of Life #3-8, Pigment Print, 120x160cm, 2011
  • ⓒ이정록 Jeonglok Lee
    Tree of Life #5-3-7, C-type Print, 99x170cm, 2013
  • ⓒ이정록 Jeonglok Lee
    Tree of Life #5-4-8, C-type Print, 152x120cm, 2013
자연은 어느 순간 어떻게 풍경이 되었을까? 풍경화와 마찬가지로 풍경사진 역시 인간의 시선을 통해 자연을 다양한 방식으로 의미화해왔다. 이정록은 자연에 덧씌워진 인간의 시선 너머 원형 그대로의 자연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만의 풍경을 일관되게 구축해오고 있다. 그의 작업은 인간의 일방적인 시선에서 벗어나 새로운 풍경을 생산하는 행위이자, 자연과 시선을 나누고 공명하는 과정이다. 이는 동양의 관점에서 자연을 대하는 태도이기도 한데, 자연을 실용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조화와 합일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자연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이미 이정록의 초기 작업에서 예견된 바 있다. 그는 자연의 생명력에 대한 관심과 탐구의 결과물인 [남녘땅]과 [갯벌], [들빛], [숨] 시리즈에서 자연의 순환과 순리를 관조하면서 그것의 에너지를 드러내는 방식에 주목했다. 그 이후의 작업인 [신화적 풍경], [사적 성소], [생명나무] 시리즈는 거기서 더 나아가 에너지를 뿜어내는 자연의 원형에 대한 탐구로 이어졌다. 자신에게 특별하게 다가오는 장소를 상상력을 발휘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적이고 영적인 흔적으로서의 풍경, 생명의 에너지가 넘치는 새로운 풍경으로 재탄생시킨 것이다.

특히 [생명나무]는 이정록의 상상력이 가장 압축적으로 구성된 풍경이다. 가장 적절한 빛과 공기감을 만들어내기 위해 오랜 시간 공들인 수고는 새로운 풍경의 지표를 보여준다. 펼쳐진 장면으로서의 풍경에서 그 안의 요소들이 신비한 기운을 내뿜고 있는 일종의 배치된 풍경으로의 전환인 셈이다. 나무, 빛은 이정록의 말대로 여러 차원의 세계를 연결하는 하나의 매개체이다. 오랜 시간을 기다려 생성된 생명의 풍경은 우리의 상상을 실현시켜주는 동시에 보이지 않는 세계의 또 다른 풍경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빛을 통해 대상에 아름다움과 동시에 그것을 넘어서는 생명력을 불어넣는 이 과정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탁월한 미적 전략이 된다.

[Decoding Scape]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보이지 않는 근원적 세계를 나름의 언어로 형상화하면서 소통과 합일을 추구한다. 자연의 정신을 인간의 언어로 드러내는 행위는 어떻게 자연을 인식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나갈 것인가에 대한 이정록의 집요한 문제의식이 그대로 담겨 있다. 그가 작가노트에서 밝힌 것처럼 자신에게 풍경은 눈앞에 펼쳐진 장면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인간의 내면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현상이기 때문이다. 이제 그의 시선은 빛이라는 신호에서 언어라는 기호로 넘어가게 된다. [Decoding Scape]는 음양오행 사상과 천지인이라는 삼재롞의 원리로 만들어진 훈민정음을 통해 자연과 풍경의 의미를 풀어내고자 했다. 그런 의미에서 [Decoding Scape]는 [생명나무]와 함께 이정록의 풍경을 바라보는 시선과 풍경을 인어내는 관점이 응집되어 나타난 결과물인 셈이다.

그래서 이번 BMW PHOTO SPACE 개관전 《See the Unseen》에서는 풍경 위에 이정록이 상상으로 써 내려간 원형의 메시지를 통해 풍경의 함의를 짚어보고자 한다. 풍경을 언어로 해독하여 그 본질을 인어내고 풍경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이정록의 행위는 인식 이전의 근원을 찾고자 한 초기 작업의 고민과 맞닿아 있다. 뿐만 아니라 소유의 개념에서 시작된 풍경의 개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진화되어가야 하는지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정록은 자신이 만들어낸 암시적 풍경을 통해 자연에 풍경을 돌려주는 법, 다른 시선으로 새로운 풍경을 만들어내는 법 그리고 자연과 소통하고 공명하는 법을 제시한다. 이번 전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와 존재의 근원을 형상화한 기호로서의 [생명나무]와 그 근원을 “마음 속에 그려지는 언어로 형상화”한 [Decoding Scape]를 통해 이정록이 풍경에게 말을 건네고 소통하는 과정을 확인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이는 풍경을 인는 또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이미정(고은사진미술관 큐레이터)
See the Unseen

내가 사진을 시작할 무렵 국내에서는 보도사진이, 해외에서는 유형학적 사진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시대의 주요한 흐름과 무관하게 정작 내 마음은 자연에 닿았다. 그것은 사유나 철학 때문이라기보다, 본능에 가까웠다.
동양인과 서양인은 근본적으로 다른 자연관을 가져왔다.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이 양상은 사뭇 달라진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적어도 당시의 나는 자연을 이기는 쪽이 아니라 이해하는 쪽에 서 있었다.
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무엇, 보이는 세계와 서로 상응하는 그곳. 오감으로 감지할 수 있는 현실세계 너머, 그러나 이곳과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무언가를 좇은 지 20년이다.
그 동안 흑백 사진으로 담아냈던 남녘땅은 색채를 입었고, 모종의 장치로서 더해졌던 소품이나 인물은 한 그루의 나무와 빛으로 함축되었다.
[Tree of Life]는 그 자체로서 신목이었다. 나는 신목의 아우라를 드러내기 위해 고요하고, 오묘한 빛을 택했다. 그렇게 이곳과 그곳이 만나는 지점으로서 „생명나무‟가 어느 정도 가시화 되었을 때, 빛은 나무로부터 자유로워졌다. [Decoding Scape]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장소들이 있다. 단순히 눈을 사로잡는 표면의 아름다움이 아니다. 구태여 언어화 하자면, 일종의 채널링이다. 은밀하지만 선명한 이 밀어를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까?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잇는 관문이었던 생명나무를 통하지 않고 빛의 변주만으로 자연의 소리를 전달하는 것, 그것이 [Decoding Scape]였다.
그리고 [Tree of Life in Island]. 제주로 출발할 때만 해도 „생명나무‟가 되돌아오리라는 것을 나는 짐작도 못 했다. 생명나무가 나를 찾아왔다. 그것은 같은 나무였지만, 전혀 다른 나무이기도 했다. 과거의 생명나무는 그 자체가 존재의 근원이자 두 세계를 잇는 관문이었다. 제주의 생명나무는 독특하고 낯선, 그리고 무엇보다 두려울 정도로 강렬한 제주의 에너지가 잉태한 나무였다. 생명나무가 피워낸 빛은 나무 자체의 에너지라기보다는, 보이지 않는 세계의 파장이 응축된 지점이자 조화와 합일을 위한 찰나적 균열이었다.
사유가 사라지게 하는 공간이 있다. 그곳에 닿으면 나는 단순히 시각에만 의존하지 않고, 모든 감각을 동원한다. 모든 감각이 열리면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낯섦을 너머 오묘한 세계에 닿는다. 일종의 합일이다. 몸과 마음과 영혼이 조화롭게 리듬을 탄다. 무에서 유를 만드는 게 아니라 몸으로 체감한 긍정적 에너지를 전하는 것, 그것이 내 작업을 관통하는 한 줄이다.

2015. 이정록
Decoding Scape-Preface

Photographer Lee Jeong-rok has continued landscape work to interpret as sacred places by recording the unseen and dynamic wonders of nature through a contemplative view or intervening directly, centering around plains, fields and mudflats in the Southwest, with his mythological world view looking for the prototype of human life and culture. Especially, “Mythological Landscape” and “Private Sanctuary” that were shaped by transparent orbs or shining seeds like eggs put at places where the sky and the earth connect and produce life, let us witness natural life transfer to human history; moreover, his “Tree of Life” in which sacred energy spreads in light let us imagine the prototypical mythology of humankind. In his “Decoding Scape”, the photographer expanded his mythological view of nature to a made-made cultural place or a place where violence has been inflicted, and sought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nature through codifying a language of silence in nature. Namely, he decoded through light in forms like hieroglyphs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contained in the consonants and Three Materials Theory of vowels in Hangeul and marked down the rich natural language that is undecipherable by conventional human codes, though it is omnipresent in nature. He transformed the mystery of existence that is indescribable by already created codes into image characters, symbols that are a combination of light waves, consonants, or consonants and vowels.

Signs are a way of understanding the world and a place to make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semiologist Perth noticed the ability of signs that talk to us in the universe full of signs, the appearance of nature and the dynamic power of sound were translated into different languages by various human cultures and became the foundation for communication. As the mysterious being of nature has transcendence that cannot be completely translated by a human language, the photographer expressed, in his “Decoding Scape”, through landscape text, the silent message that nature sends to us by shaping or combining Hangeul, a phonogram, through hieroglyphs that mimic the form or meaning of nature. Light that signs radiate is a place “of opening” where the existence of nature is exposed and plays the role of opening for it to appear in the “phenomenon” of hieroglyphs. Rich meaning and colors that are possessed by nature with a circulation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which are impossible to prescribe with own homogeneous meaning, are seen as doubled through light waves covering signs.

Cod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consonants like ㅁ, ㅂ, ㅍ, ㅅ and ㅇ (for water, fire, grass, life and void) which derived from elementary memories of the prototypical location of nature or a civilized place, and basic vowels symbolic of the sky, the earth and human, became “symbols” of nature as a complete whole whose parts cannot be taken apart through attributes of landscape, though codes are “parts” of mythological nature. As was mentioned in the work notes, “ㅈ” that is floated on the sea and on the mud flat is broken up into “ㅡ" looking like a horizon and “ㅅ" looking like a human standing on two feet, symbolizing the throbs of life. Here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universal order embedded in nature were not made abstract as signifiers, i.e., means to simply transmit messages, but were shaped as a whole with proper nouns. Light opens the existence that was hidden in the violent and rational consciousness of humans and shines the road to symbolic and emotional communication for meaning that cannot be conceptualized.
Lee Jeong-rok expressed the world of silence in nature by recalling proper nouns through doubling or differentiating by nature and code, and reality and fiction in “Decoding Scape”. Dolmens that help us remember natural landscape, or sources and history, and hieroglyphs inscribed around towers are not just signifiers that lose substance and float, as simple signs for exchange, but geographical points where beings appear, houses are built, and incidents take place. The house that is segmented by signs, however, is not a permanent one but a temporary one that is a trace to be replaced continuously so as to visualize the complete meaning and shaped by différance that is postponed infinitely. Therefore, “Tree of Life” is a symbol itself that is a concentration of themes of an exhibition as it opens a venue of communication for diverse seeds of Hangeul, the alphabet, and Arabic numeral to be rewritten as new texts by spectators themselves. The photographer exposed the narrowness of conceptual cognizance that is not to be fixed through human knowledge and let us focus on the internal otherness of nature through plastic and imaginative landscape text that unraveled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nature by images and signs. Though the hieroglyphs inscribed in the landscape look strange as codes that are instantly undecipherable to spectators, if they look at the signs as image characters not as codes to be decoded, they could be thought of as a new meaning through the individual imagination of spectators and thus, could we ourselves be thinking signs and planets in the universe full of signs?

Kim Hwa-ja (Hybrid Institute for Future Cul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2012

이정록 작가는 인간 생명과 문화의 원형을 찾는 신화적 세계관을 서남 지역의 평야, 들판, 갯벌을 중심으로 자연의 보이지 않은 역동적인 경이로움을 관조적 시선으로 기록하거나, 직접 개입하며 신성한 장소로 해석해 놓은 풍경 작업을 지속해 왔다. 특히 하늘, 땅이 접속하며 생명을 탄생시키는 장소들에 놓인 알 같은 투명한 구형들 또는 반짝이는 씨앗들로 형상화 시킨 (신화적 풍경), (사적 성소)는 자연의 생명력이 인간의 역사로 전이되는 것을 목격하게 해주고, 신성한 기운이 빛으로 퍼져나가는 (생명나무)는 인류의 원형적인 신화를 상상하게 해주었다. 작가는 (Decoding Scape)에서 자신의 신화적 자연관을 인간이 일궈낸 문화적 장소 혹은 폭력이 행사된 장소로 확장시켜 자연이 말하는 침묵의 언어를 기호화하며 자연과 보다 직접적인 소통을 꾀하였다. 즉 자연에 편재하지만 인간의 관습적인 코드로는 결코 해석 될 수 없는 풍요로운 자연의 언어를 한글의 자음에 담겨진 음양오행 사상과 모음의 삼재(三才)론에 근거해 상형문자와 같은 형상의 빛으로 해독, 기입해 놓았다. 이미 만들어진 기호로는 결코 쓰여 질 수 없는 존재의 신비를 빛의 파동, 자음 혹은 자음과 모음을 조합한 상징들인 이미지 문자로 만든 것이다.

기호는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이자 타자와 관계 맺는 장소이다. 일찍이 기호학자 퍼스가 ‘기호로 가득 찬 우주에서 우리에게 말 걸어오는 기호의 능력에 주목했듯이, 자연의 모습과 소리의 역동적인 힘은 인간의 다양한 문화에 따라 상이한 언어로 번역되며 소통하게 해주는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자연이란 신비스런 존재는 인간의 언어로는 완전히 번역될 수 없는 초월성을 지니기 때문에 작가는 (Decoding Scape)에서 소리 문자인 한글을 자연의 형태 또는 의미를 닮은 상형문자로 형상화하거나 조합하여 자연이 우리에게 전하는 묵언의 메시지를 풍경 텍스트로 표현했다. 기호에서 발광하는 빛은 자연의 존재가 드러나는 ‘열림’의 장소이자 상형 기호라는 ‘현상’으로 나타나도록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자기 동질적인 의미로 규정할 수 없는 과거, 현재, 미래가 순환하는 자연이 지닌 풍요로운 의미와 색은 기호를 감싸는 빛의 파동으로 배가되어 보인다.

자연의 원형적인 장소 혹은 문명화된 장소에 대한 근원적인 기억에서 가져온 ㅁ, ㅂ, ㅍ, ㅅ, ㅇ(물, 불, 풀, 생명, 空) 같은 자음과 천지인을 상징하는 기본 모음으로 조합해 낸 코드들은 비록 신화적인 자연의 ‘부분’이지만 그 부분은 풍경의 속성으로 분해될 수 없는 완전한 전체로서 자연의‘상징’이 된 것이다. 즉 작업노트에 언급되었듯이 갯벌 위 바닷물 위에 띄워진 ‘ㅈ’은 수평선을 닮은 ‘ㅡ’와 두 다리로 선 사람을 닮은 ‘ㅅ’이 생명의 약동을 상징하는 것이다. 여기서 자연에 깃든 음양오행과 우주적 질서는 단순히 메시지를 전달을 위한 도구적인 기표들로 추상화된 것이 아니라 마치 고유명사를 지닌 총체처럼 형상화되었다. 빛은 인간의 폭력적, 합리적인 인식에 은폐되었던 존재를 개방하며 개념화될 수 없는 의미에 대해 상징적이고 감성적인 소통에 이르는 길을 밝혀준다.

이정록은 (Decoding Scape)에서 자연과 코드, 현실과 허구 사이의 이중화, 이종(異種)화를 통해 자연이 말하는 침묵의 세계를 고유한 명사들로 불러내어 표현하였다. 자연풍경 혹은 근원과 역사를 기억하게 해주는 고인돌, 탑 주위에 기입된 상형문자들은 단순히 교환적 기호들로 실체를 상실하고 부유하는 기표들이 아니라 존재가 출현하며 집을 짓는 장소이자 사건이 놓이는 지점이다. 그러나 기호들로 분절된 그 집은 영원한 것이 아니라 충만한 의미가 가시화되기 위해서 계속해서 고쳐 씌어 질수 있는 흔적으로 무한히 연기되는 ‘차연(差延, différance)’이 만드는 임시적인 집일뿐이다. 따라서 한글, 알파벳, 아라비아숫자의 다양한 씨앗들이 관람자 각자 새로운 텍스트로 써나갈 수 있게 소통의 장을 열어주는 ((생명나무))는 바로 전시 주제가 응집된 상징 그자체이다. 작가는 자연의 존재와 의미를 이미지-기호로 풀어낸 조형적이고 상상적인 풍경 텍스트를 통해 인간의 지식으로 고정시킬 수 없는 개념적 인식의 협소함을 누설하며 자연의 내적 타자성에 주목하게 해주었다. 비록 풍경에 기입된 상형문자들이 관람자에겐 즉각 해독하기 어려운 암호들처럼 기습하지만 그 기호들을 해독해야할 암호가 아닌 이미지 문자로 본다면 관람자 개개인의 상상 작용을 통해 다시 새로운 의미로 사유될 수 있기 때문에 기호로 가득 찬 우주 속에 우리 각자도 사유하는 기호이자 행성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김화자(성균관대학교 하이브리드 미래문화연구소) / 2012
Decoding Scape-Artist’s Statement

According to Heidegger, language is ontological and not a tool invented for human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speech is not a system of symbols devised and agreed by humans to serve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but is the house of being where objects reveal their existence and exist within.
Walter Benjamin had also stated language is not exclusive to humans but that it belongs to all matters (beings). He claimed object is created and recognized by ‘speaking’ it. In his views, finding its linguistic essence and ‘naming’ it revealed the name itself and allowed communication among object, nature and human.

Hunminjeongeum or Hangeul is the letters and language of Korean people, and historically it was created by combining the philosophy of yin-yang and 5 energies (eumyang-ohaeng) as well as the 3 elements theory (samjaeron). Firstly, consonant alphabets are derived from 5 basic consonants representing the 5 energies; ㄱ (wood), ㄴ (fire), ㅁ (soil), ㅅ (metal) and o (water). Secondly, vowels are made from 3 basic vowels representing the 3 elements; . (heaven), ㅡ (earth) and l (human). Then the three are combined together following the rules of universe. Thirdly, hanguel takes 3 single alphabets for initial (heaven), medial (human), and final (earth) sounds then combine them to form a single letter which too is based on the 3 elements theory. Thus the notion of yin-yang, 5 energies and 3 elements are incorporated into every letter in Hangeul and it is the only alphabetic system in the world that can explain why its vowels and consonants are shaped the way they are.

Korean philosopher Yu Yeong-mo interprets Korean consonants as follows. ‘ㄱ’ is a shape showing something being lowered down from above, meaning seed of life descending from heaven. That is why Korean word for holy (거룩 georuk) and sword (검 geom) start with ‘ㄱ’. ‘ㄴ’ holds the meaning of accepting something obediently. ‘ㅁ’ is the beginning and root of the language, and all words related to the mouth, such as drinking and speaking in Korean begin with ‘ㅁ’. Meanwhile ‘ㅅ’ takes the form of person standing on two feet, dynamic and lively. Humans are the only being on earth that hold their head high towards the sky, and the letter implies humansneedtofollowtheheavenandobeytheearth.Thisiswhywordslikehuman(사람 saram), life (삶 sam), breath (숨 sum), sprout (싹 ssak), seed (씨 ssi) all start with the alphabet ‘ㅅ’. As you can see from its shape, ‘ㅇ’ is void. This is the origin of time and basis of space. Korean sentence often ends with the term ‘~이다’, a term equivalent to the English verb ‘be’, and it also begins with alphabet ‘ㅇ’. Based on such interpretation, everlasting truth can be explained by just using vowels and consonants of Hangeul. Here is an example.

ㅁ ㅂ ㅍ ㅅ (Initials for 물, 불, 풀, 생명 meaning water, fire, grass and life)
Water springing from earth meets fire from the sky to become grass, or life (생명 saengmyeong). Heaven meets earth to bear life. The 3 elements of samejaeron.

In this project, I intend to see phonetic letters of Hangeul as ideograms and hieroglyphs, in order to unravel meanings of nature from them and communicate. By observing nature, and furthermore empathizing with it, its linguistic essence can be recognized and visualized into Hangeul symbols.

For instance, basic consonant ㅁ symbolizing soil among 5 energies, becomes ㅂ when the top is extended and ㅍ when both sides are expanded. Pile of soil left behind after violent dig ups for development is wrapped with desire of humans. Such desire is expressed with ‘ㅍ’, initial letter of the word meaning ‘to destroy’ (파괴하다 pagoehada) or ‘to dig up’ (파헤치다 pahechida), and the letters swirl around the soil pile as if they are about to swallow the whole thing. Symbol ‘수’ was used at the barley field. The letter reads as ‘su’ in Hangeul but here it is more than a letter but is a combination of ‘l’ (drawing energy from underground), ㅡ (accumulating energy on the ground) and ㅅ (producing power of life onto the ground). Then letters ‘ㅁㅂㅍㅅ’ were piled up like a tower at a field full of grass. As explained before, this can be explained as water from ground encountered with fire from heaven to create grass and that through such production of nature humans have built up the civilization. ‘ㅈ’ was used at mud flat, a combination of ‘ㅅ’ representing life (생명) teeming beneath ‘ㅡ’, symbolizing horizon or ground..

Light was used to express linguistic features containing complex elements of voice, wave, shape and more. Strobe light was used during long-exposed state so that certain forms will glow with light, and to emphasize the feeling of breath, aura and wave, light smearing effect was used.

According to Benjamin, there is no event or object that does not take part in language in both environment of living and non-living. This is because every event or object is fundamentally designed to deliver its own story of mind. However, as language turned into mere arbitrary symbol and method to convey meaning, individual characters were ignored and spiritual, linguistic fundamentals of the object denied as well. Nature has fallen into tools for humans, subject of exploitation. Still when a voice in human language true to its linguistic essence is bestowed upon those voiceless objects, nature will no longer be a subject to be recognized, but be an opponent to communicate with.

Landscape engineer Kang Yeong-jo explains since modern times, the word ‘landscape’ which is an objective view using universal interpretation of uniformity and equivalence had gained power over the word ‘scenery’ which indicates subjective beauty momentarily created by wind and sun. Nature came to be viewed as a subject of recognition rather than something to communicate with. However I believe scenery is not a word to designate perspective state of the earth but an image phenomenon created inside the humans because of it. I wait for the scenery I see to start the conversation and I try to communicate with it by interpreting the scenery with my own Hangeul-based language and document the result on film.

Lee, Jeong Lok / 2012

하이데거에 따르면 언어는 존재론적이지 인간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발명된 도구가 아니다. 다시 말해 말과 언어란 의사소통을 위하여 인간이 고안해 내고 약속한 기호 체계가 아니라 사물이 그 안에서 존재를 드러내고 존재하는 존재의 집인 것이다.

또한 발터 벤야민은 언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사물(존재)이 언어를 갖고 있으며, ‘말함’으로써 사물이 창조되고 인식된다고 보았다. 언어의 본질을 발견하여 그것을 ‘이름’ 했기 때문에 이름 자체가 본질을 드러내고 사물, 자연과 인간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다는 얘기다.

우리 민족의 언어인 훈민정음은 역사 속에서 음양오행 사상과 삼재론을 결합하여 만들었다. 첫째, 자음은 각기 5행에 해당하는 5개의 자음, 곧 ㄱ(木), ㄴ(火), ㅁ(土), ㅅ(金), ㅇ(水)에 가획을 했고, 둘째, 모음은 천지인 삼재를 상징하는 .(天), ㅡ(地), ㅣ(人) 3개의 기본 모음을 우주의 원리대로 조합했다. 셋째, 한글의 초성(天), 중성(人), 종성(地)을 합쳐 하나의 낱글자로 완성한 것도 삼재론에 입각했다. 그러므로 한글의 낱글자 하나하나는 이미 음양오행론과 삼재론 등이 결합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음이나 모음이 왜 그러한 모양인가를 철학의 원리에 따라 설명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문자 체계라고 한다.

철학자 다석 유영모는 다음과 같이 자음을 풀이한다. ‘ㄱ’은 무엇인가를 위에서 수직으로 내려 보내는 모습인데 하늘에서 생명의 씨가 내려오는 뜻을 머금는다. 그리하여 우리말의 거룩, 검 등이 ‘ㄱ’으로 시작한다. ‘ㄴ’은 하늘에서 내려 주는 그 무엇을 순하게 받드는 뜻을 담는다. ‘ㅁ’은 언어의 시초이며 근본이 되는 것으로서 입과 관계된 모든 일, 즉 마시다, 말하다 등이 바로 ‘ㅁ’에서 시작된다. ‘ㅅ’은 두 다리로 서 있는 생명이며 약동하는 사람의 형상이다. 유일하게 머리를 하늘에 두고 직립하여 사는 인간은 하늘을 본받고 땅을 따르는 인격의 소유자가 되어야 함을 뜻한다. 사람, 삶, 숨, 싹, 씨 등이 ‘ㅅ’으로 시작하는 이유다. ‘ㅇ’은 그 모양에서 보듯이 공(空)이다. 공(空)은 시간성의 근원이자 공간성의 근본이 된다. 우리말의 ‘~이다’란 것이 ‘ㅇ’으로 시작하는 연유다.

이러한 풀이를 바탕으로 한글 자음만 가지고 진리를 이야기하는데, 대표적인 예가 ㅁ ㅂ ㅍ ㅅ(물, 불, 풀, 생명)이다. 땅에서 올라오는 물과 하늘에서 내려오는 불이 합쳐져서 생명(ㅅ)인 풀이 된다는 것. 곧 하늘과 땅이 만나 생명을 키워 낸다는 뜻이다. 천지인 삼재사상이다.

나는 이번 작업을 통해 소리 문자인 한글을 뜻 글자로 읽어 내고 상형문자로 봄으로써 그 속에서 자연의 의미를 풀어내고 소통을 시도하고자 한다. 자연을 관찰하고 더 나아가 자연과 공명하며 그 언어의 본질을 읽어 내서 한글 기호로 가시화하는 것이다.

예컨대 오행상 흙(土)을 상징하는 기본 자 ㅁ은 위로 확장하면 ㅂ이 되고 옆으로 확장하면 ㅍ이 된다. 개발을 위하여 파헤치고 남은 흙더미에는 끝없이 영토를 확장하려는 인간의 욕망이 서려 있다. 그러한 욕망들은 파괴하다, 파헤치다 등의 첫 자음인 ‘ㅍ’이 흙더미를 삼킬 듯 휘감아 도는 형상으로 표현된다. 보리밭에서는 ‘수’라는 기호를 사용했다. 한글 ‘수’가 아닌 ‘l’(지평선 아래에서 기운을 끌어올림), ㅡ(땅에 기운을 모음), ㅅ(땅 위로 생명력을 산출함)의 조합이다. 또한 풀이 무성한 곳에서는 ‘ㅁㅂㅍㅅ’을 탑 형태로 쌓아 올렸다. 이는 앞에서 본 대로 땅의 물과 하늘의 불이 만나 풀을 만들고, 그러한 자연의 산출력을 바탕 삼아 인간이 문명을 쌓아 올린다는 해석이다. 또한 갯벌에서는 ‘ㅈ’을 썼는데 ‘ㅡ’, 수평선 혹은 땅 밑에 ‘ㅅ’, 뭇 생명이 우글대는 모습으로 해석했다.

음성, 파동, 형상 등의 요소를 복합적으로 내포한 언어성을 표현할 때는 ‘빛’을 끌어 왔다. 장노출 상태에서 스트로보를 사용하여 특정 형상을 빛으로 뿜어내고 숨, 아우라, 파동 등의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 빛의 번짐 효과를 이용했다.

벤야민은 살아 있는 자연에서든 살아 있지 않는 자연에서든 언어에 참여하지 않은 사건이나 사물이란 없다고 한다. 모든 사건이나 사물은 본질적으로 그 자체의 정신적 내용을 전달하게끔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어가 한갓 자의적 기호나 전달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개별적 고유성이 무시되고 사물의 정신적 언어적 본질이 부정된다. 즉 자연은 인간의 도구, 착취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만 것이다. 하지만 목소리를 가지지 않는 사물들에게 인간의 언어로 그 언어의 본질에 맞는 음성을 부여할 때 자연은 더 이상 단순한 인식의 대상이 아닌 소통의 상대가 될 것이다.

경관공학자인 강영조는 근대 이후, 바람과 태양에 의해 순간에 드러나는 주관적 아름다움을 가리키는 ‘풍경’이라는 언어보다, 균일성과 등가성이라는 세계 공통의 해석을 적용한 객관적 형상을 의미하는 ‘경관’이라는 언어가 득세했다고 말한다. 자연을 소통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인식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풍경이란 눈에 보이는 대지의 모습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계기로 우리 내면에서 일어나는 이미지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내가 바라본 풍경이 말 걸어 주기를 기다리며 그 풍경을 한글에 기초한 나의 언어로 해석하여 필름에 기록함으로써 소통을 시도한다.

이정록 / 2012
Tree of Life-Preface

While life goes on, a tree is blooming in the forest. When it's not a flower, however, can I say it blooms? Yet, the tree is blooming with new life, while light hangs from every branch. Like a wood that is so deep as to be spiritual or sea that is so calm as to be serene, the venues that give birth to trees cement my belief further. Here, I even feel solemn as if great nature pours all her force to marshall all subterranean energies for that single tree, as in the film Avatar.

Lee Jeong-rok is involved in the work of moving a single tree to a holy place and giving it new life. The tree used in such an extraordinary act of Lee Jeong-rok should be anything but mediocre, so to the artist, the tree in the work is tantamount to a 'sacred tree'. As people worship a sacred tree through which heaven and earth, god and humans meet as in shamanism, the artist places the tree where nature's deep echoes lie and gather up her spirituality. Can a tree express the whole wondrous mystery of nature, which exists but is more surprising because it remains invisible? So, the artist lights up every tree branch. For light that comes from darkness is the psychic medium that connects the visible world with the unseen world.

No matter how profound the artist's thought on light is, if the light has come from Photoshop, it could be a little silly. What is amazing about Lee's work is that the artist himself picked some extraordinary-looking tree, moved it to the forest, and installed it there, before he obtained that one cut of analog film by using on the site the photoshoot requirements in over ten stages. So, it'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you have to brood there at least a week on the site to get one single picture. While Lee Jeong-rok's idea of rapporting with nature in his own terms is novel, the arduous process even smacks of religious devotion. Therefore, his 'Tree of Life' makes sure that even the nature-worshipping mind, hidden in our genes, blooms anew.

Song Soo-jeong, exhibition planner.

사려니 숲에서 한 그루 나무가 피어나고 있다. 아무렴 꽃도 아닌데 피어난다고 할 수 있을까. 그러나 나무는 분명 가지마다 주렁주렁 빛을 매단 채 새롭게 생명을 얻어 피어나고 있는 중 이다. 깊다 못해 영험한 숲속이나 잔잔하다 못해 그윽한 바닷가처럼 나무가 태어나는 숙연한 장소들은 이 심증을 훨씬 굳히게 만든다. 마치 영화 (아바타)의 한 장면처럼 거대한 자연이 온 힘을 쏟아부어 한 그루 나무에 땅 밑의 모든 기운들을 모아주고 있는 듯한 숙연함마저 든다.

이정록은 이렇듯 한 그루 나무를 성스러운 장소로 옮겨와 새롭게 생명을 주는 일을 벌이고 있다. 이 예사롭지 않은 이정록의 행위에 쓰이는 나무 또한 예사로울 수가 없으니, 작가에게 작품 속 나무는 ‘신목’이나 다름 없다. 무속신앙에서 하늘과 땅, 신과 인간이 만나는 거룩한 나무를 모시듯, 작가는 자연의 깊은 울림이 있는 곳에 나무를 세워 두고 자연의 영험함을 그러모으려고 한다. 분명 존재는 하지만 보이지는 않기에 더 놀라운 이 자연의 신비로움을 나무 한 그루가 오롯이 드러낼 수 있는 것일까. 그래서 작가는 나뭇가지마다 불빛을 밝혀준다. 어둠에서부터 찾아오는 빛이야말로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이어주는 영매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빛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그윽하다고 해도, 그 빛이 포토샾에서 왔다고 하면 좀 시시해질 수도 있다. 이정록의 작품이 놀라운 건, 작가가 직접 생김새가 예사롭지 않은 나무를 골라 숲속까지 옮겨 설치하고, 현장에서 무려 열 단계가 넘는 촬영 조건을 활용해 아날로그 필름 한 장으로 이 풍경을 얻어 낸다는데 있다. 그러니 사진 한 장을 얻기위해 같은 장소에서 최소 일주일 품은 들여야 한다는 말은 엄살이 아니다. 자기 식으로 자연과 교감하는 이정록의 발상은 참신하지만, 그 고단한 과정들은 사뭇 종교적인 느낌까지 풍긴다. 그래서 그의 ‘생명나무’는 우리 유전자에 숨겨진 자연을 향한 경배의 마음마저 새롭게 피어나게 만든다.

송수정 전시기획자
Tree of Life-Artist’s Statement

The Tree of Life series began in the winter of 2006. It was a freezing winter with bitter winds. I saw a glimpse of green at the tip of a bare branch. “Did I really see it then?” Whatever it might have been that I saw, a seed of life must have been embedded inside that dry branch devoid of vitality, like all the trees that have to endure the long, barren winter. Although not clearly visible, it is without doubt that this vitality exists. This is not the only invisible thing that exists in this world! This was a kind of awakening.Awareness of something that exists in spite of its invisibility.

Invisible yet they exist, interacting with the visible world. They correspond to each other. I wanted to express this in my work. I struggled to find a way to express the vitality dormant in a dry branch. Going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I began to use light. Light was the most appropriate medium to express the vitality that I discerned. Moreover, the sublimity of light is a universal archetype of mankind like the numinousness of trees. My work began from here.

I needed to handle three different lights – natural light, flashlight and searchlight – for this series of work.In addition to trees, other props were required and many different kinds of films were needed for changing light and atmosphere of each day. It was impossible to controlrandom outdoor situations that I had to face daily. It was not uncommon that outdoor sets that were built for several months would be destroyed by worsening weather conditions. The second Tree of Life series was made in an indoor studio. After having gone through a tiresome three-month test period inside the studio, valid data began to be accumulated. It tookmore than four years to learn how to control the light in Trees of Life.

A tree of life’s light does not illuminate the world or the outside of the tree. Instead, it reveals the interior space, the aura of existence. For this reason, I wanted that light to be subtle, not so spectacular. As experiments continued, the work process for the Tree of Life series has become stabilized. As the background wastransferredfrom a natural setting to a stage, it became more dramatic with the aura of the tree of life further intensified.

As I learned to manipulate variations of light to some degree, I wanted to see what kind of effects would be created when a tree of life meets nature full of vitality. Searching for a site that cherishes the deep echoes of nature, I arrived at Jeju Island. I was awestruckstanding in front of Jeju’s unique and alien nature that is extremely vibrant, almost fearsome. It took two months beforeI was able to set up my camera in front of this primordial nature that exceeds any interpretation. I found a tree that resembles Jeju Island and worked at seashores, farms, or forestsimbued with special inspirations. Although my long indoor experience enabled me to handle flashlight skillfully, outdoor photography was still a huge challenge. At least a week’s work was required just to obtain basic data from a site. Jeju’s windy and capricious weather was never predictable and films needed to be sent back by air for development.

A tree of life that has emerged in the world again is a gate that connects the visible and invisible worlds or the chasm between them. Light stands for the communion between the visible and invisible worlds. The tree of life symboliz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different worlds as it is. Our industrialized contemporary society is laden with various stimulations that make us oblivious of life’sfundamental source. I wanted to create a site where the vitality of nature and the substantial world embedded in us meet. Beyond a mere communication with nature, I hope we will be reminded of the waves from the invisible world that have been always influencing ourlife and history.

Jeonglok Lee, 2013

생명나무는 겨울과 봄 어디쯤에서 만난 감나무에서 시작되었다. 겨울의 혹독한 추위에 바짝 마른 나무 가지 끝에서 언뜻 초록이 보였다. ‘그 때 나는 정말 보았던 것일까?’ 내가 본 것이 무엇이었던 간에 죽은 듯 말라버린 그 가지는 생명의 싹을 품고 있었을 것이다. 지난한 겨울을 나는 모든 나무들이 그러하듯이. 그 생명력은 선명하게 보이지 않더라도, 분명히 존재하고 있다.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것들이 어디 그 뿐이랴! 일종의 각성이 있었다. 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세계에 대한 각성.

보이지 않지만 그것들은 분명 존재하며, 눈에 보이는 세계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상응한다. 나는 그것을 작품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마른 나무 가지가 품고 있는 생명력을 어떻게 표현할까 고심하다가 우연히 빛을 사용하게 되었다. 빛은 생명력을 표현하는데 굉장히 좋은 매체였다. 게다가 빛의 숭고함은 나무의 신령함만큼이나 인류의 보편적인 원형이기도 하다.

작업을 위해서는 우선 자연광, 플래시, 서치라이트라는 세 종류의 빛을 다루어야 했다. 나무 이외에도 이런저런 설치물이 필요했고, 그 날 그 날의 빛과 공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필름을 사용해야 했다. 야외작업에서 만나게 되는 상황은 컨트롤되기는커녕 감당하기 버거웠었다. 급기야 호우로 인해 몇 달 동안 공들여 일군 세트장이 파손되었다.

그래서 생명나무 두 번째 시리즈는 실내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 실내에서 3달 동안의 지루한 테스트 끝에 겨우 데이터가 구축되기 시작했다. 생명나무의 빛을 컨트롤하는데 무려 4년이 넘는 시간이 걸린 셈이다.

생명나무의 빛은 세상 혹은 나무의 외면을 비추기 위한 빛이 아니다. 공간의 내면, 존재의 아우라를 드러내기 위한 빛이다. 그래서 나는 그 빛이 요란하기보다는 오묘하길 바랐다. 계속되는 실험으로 인해 생명나무의 형식은 차츰 완성되어갔고, 배경이 자연에서 무대로 옮겨지자 극적인 느낌이 강해졌다. 생명나무의 아우라가 극대화 되었다.

빛의 변주가 가능해지자 생명나무가 실제로 존재하는 자연과 만났을 때, 어떠한 화학작용이 이루어지는지 보고 싶었다. 자연의 깊은 울림이 있는 곳을 찾다가 제주에 닿았다. 생명력 넘치다 못해 두려울 정도로 강렬한 제주의 독특하고 낯선 자연과의 교감을 위해 한참을 헤맸다. 마을 이장님의 도움으로 어렵게 구한 나무를 세우기까지 두어 달이 걸렸다. 주로 바다와 목장과 숲에서 작업을 했다. 제주의 독특한 풍광들은 낯설어서 어렵기도 했지만 많은 작업적 영감을 주기도 했다. 하지만 플래시를 능수능란하게 다룰 수 있게 되었다고 해도 야외작업은 여전히 어려웠다. 한 장소에서 기본적인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최소 일주일은 품을 들여야 했다. 바람이 많고 변덕스러운 제주의 날씨는 한치 앞도 예상할 수 없는데다가 현상을 위해 필름은 매번 비행기를 태워야했다.

나무는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잇는 관문이자 일종의 균열이다. 빛은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의 교류를 상징한다. 생명나무는 그 자체로 두 세계간의 상응을 표징하는 셈이다. 현대 산업사회는 굉장히 자극이 많다. 근원적인 것을 잊게 만들 정도로. 나는 작품을 통해 자연의 생명력과 우리 안에 내재된 근원적인 세계가 맞닿는 지점을 만들고 싶었다. 단순히 자연과의 교감에 그치기보다 우리의 삶과 역사에 개입하고 있는 보이지 않는 세계의 파장을 환기하기 바란다.

이정록 / 2013
이정록 Jeonglok Lee

1971 광주 출생

학력
2002 로체스터공과대학 영상예술대학원 순수사진전공 졸업 (M.F.A)
1998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사진디자인전공 졸업
1996 광주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14 《Journey of Light》, 신세계갤러리, 부산
.........《Let There Be The Light》, Zendai Contemporary Art Space, 상하이, 중국
2013 《Light & Revelation》, 빛갤러리, 서울
2012 《Decoding Scape》,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2010 《Tree of Life》, 신세계갤러리, 광주
2009 《이정록》, 공근혜갤러리, 서울
2007 《The Mythic Scape》, 트렁크갤러리, 서울
2001 《Clarias》, SPAS갤러리, 로체스터, 뉴욕
1998 《남녘땅》, 갤러리 2000, 서울

주요 단체전
2014 《대구사진비엔날레 특별전 - 만월》,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 《역병의 해 일지》, 아르코미술관, 서울
.........《미술관속사진페스티벌 - 사진과 역사》,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13 《나무의 숨결》, 천안예술의전당미술관, 천안
2012 《제9회 광주비엔날레 - 라운드 테이블》,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 《무등설화》, 금일미술관, 북경, 중국
2011 《오늘날의 신화》,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제3회 국제현대미술 광주아트비전: 손끝의 창조》,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2010 《난징비엔날레: AND_WRITERS》, 장쑤성미술관, 난징, 중국 《한국현대사진의 조망》, 국립타이완미술관, 타이중, 타이완
.........《The Moment》, 63스카이아트미술관, 서울 《2010 미디어아트페스티발 DIGIFESTA 주제전: 광속구-시속 2010》,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수상 및 레지던시
2014 중국 상해 히말라야미술관 정대주가각예술관 국제레지던시 입주작가
2013 제주도 가시리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2009 광주시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2006 의재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 신세계미술제 대상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과천 │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 대림미술관, 서울 │ 아트선재미술관, 경주
일민미술관, 서울 │ 웨스턴 조선호텔, 부산 │ 전라남도청, 무안
Jeonglok Lee

1971 Born in Gwangju, Korea
1996 B.F.A in Design, Gwangju University, Gwangju, korea
1998 M.F.A in Photo Design, 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002 M.F.A in Fine Art Photography,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Rochester, New York, USA

Solo Exhibition
2014 Let There Be The Light, Zendai Contemporary Art Space, Shanghai, China
.........Palette of Light,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Tree of Life in Island, Shinsegae Gallery, Seoul, Korea
.........Tree of Life in Island, Shinsegae Gallery, Gwangju, Korea
2013 Tree of Life in Island, Soul Art Space, Busan, Korea
.........Light & Revelation, Vit Gallery, Seoul, Korea
2012 Decoding Scape, The Museum of Photography, Seoul. Korea
.........Decoding Scape, Dudon Museum of Art, Jeju. Korea
.........See the Unseen, Soul Art Space, Busan, Korea
2010 Tree of life, Vit Gallery, Seoul, Korea
.........Tree of life, Shinsegae Gallery, Gwangju, Korea
2009 Jeonglok LEE, Gallery Kong, seoul, Korea
2007 The Mythic scape, Trunk Gallery, Seoul, Korea
.........The Mythic scape, Shinsegae Gallery, Gwangju, Korea
2003 Aquarium, Shinsegae Gallery, Gwangju, Korea
2002 Clarias, Nine Gallery, Gwangju, Korea
2001 Clarias, SPAS Gallery, Rochster, New York, USA
1998 The Southern Land, Gallery 2000, Seoul,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4 Festival of Photography in Museum-History, K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
2013 Meditated Landscape,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Korea
.........Breath of Tree, Cheonan Arts Center Museum of Art, Cheonan , Korea
.........Utopia, Opera gallery, Seoul, Korea
.........Fact of Fiction,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2012 Mudeung Tales (TODAY ART MUSEUM, Beijing, China)
.........Gwangju Biennale - Round Table ( Gwangju Biennale Exhibition Hall, Gwangju)
.........Secret, the Margin of Error, Arko Art Center, Seoul, Korea
2011 Mythology Today, Pohang Museum of Art, Pohang, korea
.........Magical Country, Yangpyeong Art Museum, Yangpyeong, korea
.........Nature, Image, Ilwoo Space, Seoul, Korea
.........Make Movement, Kumho Gallery, Gwangju, Korea
.........The 3rd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Creation from the Fingertips,
.........Gwangju Biennale Hall, Gwangju, Korea
.........Open It to Your Mom, Gallery Now, Seoul, Korea
2010 Nanjing Biennale:AND_WRITERS, Jiangsu Provincial Art Museum, Nanjing, China
.........On the Cutting Edge: Aspects of Korean Contemporary Photography,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s, Taichung, Taiwan
.........The moment, 63 Sky Art Museum, Seoul, Korea
.........2010 Media Art Festival: DIGIFESTA, Gwangju Biennale Hall, Gwangju, Korea
2009 Seoul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Garden 5 Gallery, Seoul, Korea
.........Gwangju & Seoul Creative Studio Resident Artists Exchange Exhibition: No...,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
.........Serotonin Ⅱ, SeMA Gyeonghuigung of Seoul Museum of Art, Seoul
.........OZ Thema, Shinsegae Gallery, Seoul, Korea
.........make up photo, Vit Gallery, Seoul, Korea
.........Getxophoto Festival, Getxo, Spain
.........Blue Dot ASIA, Seoul Art Center. Seoul, Korea
.........Utopia, Gallery Illum, Seoul, Korea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
2008 Illusion, 2×13 Gallery, Seoul, Korea
.........Art at Home: Wonderful Life, Doosan Art Center, Seoul, Korea
.........Factory, Ilmin Museum of Art, Seoul, Korea
.........Contemporary Korean Art, Korean Cultural Centre, London, UK
.........Time of Response, Arario Gallery, Beijing, China
2007 Multiple Art Lovers, Gallery M, Daegu Korea
.........Shanghai eArt Festival, Xuhui Art Museum, Shanghai, China
.........Our Land, Our People, Gwangju Folk Museum, Gwangju, Korea
.........Daegu and Gwangju New Vision, Debec Gallery, Daegu, Korea
.........The First Decade, Shinsegae Gallery, Gwangju, Korea
2006 Uijae Art Studio open studio, Uijae Museum, Gwangju, Korea
.........Media Experiment, Chosun University Museum, Gwangju, Korea
.........Historical Culture Travel: Island, Shinsegae Gallery, Gwangju, Korea
.........Humanity of Angle, Gwangju Museun of Art, Gwangju, Korea
.........The Image of Korean Modern Life, Ilmin Museum of Art, Seoul Korea
2005 The Tales of 15 Villages, The former site of Jeollanaamdo Provincial Building, Gwangju, korea
.........Geumgang Nature Art Pre-Biennale 2005: ABOUT-FROM-FOR NATURE, Yatoo Nature Art-Museum, Gongju, Korea
.........Toward Ecotopia, Jeollanamdo Okgwa Art Museum, OKgwa, Korea
2004 Geumgang Nature Art Pre-Biennale 2004, Geumgang Biennale Special Hall, Gongju, Korea
.........Korea Young Artists Biennale, Daegu Culture and Art Center, Daegu, Korea
.........Landscape: 10 photographers, Uijae Museum, Gwangju Korea
2003 It's the Landscape, Chohung Gallery, Seoul, Korea
.........View and Gaze, Sinsegae Gallery, Gwangju, Korea
.........Amazing Things Happen in Gwangju River" Lotte Gallery, Gwangju, Korea
2001 Intersection, SPAS Gallery. Rochester. New York, USA
.........19 photographers with Calm Land, Fukuoka Asian Art Museum, Fukuoka Japan
.........Digital Art, Gallery r, Rochester. New York, USA
.........Honor Show, SPAS Gallery, Rochester, New York, USA
2000 More Than Several, SPAS Gallery, Rochester, New York, USA
1999 Calm land, Sai Gallery, Seoul, Korea
.........Honam photo Festival, Familyland Special Exhibition Hall, Gwangju, Korea
1998 6 Photographers with Calm Land, Gallery 2000, Seoul Korea
1997 HIPHO, Indeco Gallery, Seoul, Korea
.........Commuagate, Sansung Photo Gallery, Seoul, Korea

Awards
2006 Grand Prize, Shinsegae Art Awards

Residency
2014 Shanghai Zwndai Zugagak Museum of Art Studio, Chaina
2013 Gasiri Art Studio, Jeju, Korea
2009 Gwangju Museum of Art Studio
2006 Uijae Art Studio

Public Collections
Art Bank,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
Daelim Museum of Art, Seoul, Korea
Art Sonje Museum, Gyeongju, Korea
Westin Chosun Hotel, Busan, Korea
Ilmin Museum of Art, Seoul, Korea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Muan, Korea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