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2018.05.30 13:51

이훈 Lee, Hoon 개인전

조회 수 199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제목 CROSS ENCOUNTER
전시기간 2018. 5. 30 ~ 6.12
전시장소 사진‧미술 대안공간 SPACE22, Seoul
오프닝 2018. 5. 30(수) 6:00pm~
갤러리 주소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390 미진프라자빌딩 22층 T.02 3469 0822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space22.co.kr
관람시간 월~토 11:00~19:00 |일요일, 국경일 휴관
『인간은 누구인가』 하는, 아주 오래되고 전통적인 질문은 아마도 종교, 철학, 그리고 예술의 기초적인 질문일 것이다. 이것은 너무나 어려운 질문이기에 대답을 위해 실마리를 찾는 것부터 쉽지 않다. 그러나 『인간의 사고와 행동양식은 무엇에 의해 지배되는가』 하는 질문은 비교적 쉬워 보이는데, 사진 예술에서는 그것을 학문으로 연구하기보다는 단지 표현할 뿐이다.
  • ⓒ이훈 Lee, Hoon
  • ⓒ이훈 Lee, Hoon
  • ⓒ이훈 Lee, Hoon
  • ⓒ이훈 Lee, Hoon
  • ⓒ이훈 Lee, Hoon
  • ⓒ이훈 Lee, Hoon

TITLE : CROSS ENCOUNTER


Photographer : Lee Hoon–이훈

인간의사고와행동양식을지배하는각각의요인(Factor), 그리고예상하지않았던만남 :
두개의다른개체는같이동행하기보다는다른방향을지향하고
갈등을일으키는만남이기쉽다.

『인간은 누구인가』 하는, 아주 오래되고 전통적인 질문은 아마도 종교, 철학, 그리고 예술의 기초적인 질문일 것이다. 이것은 너무나 어려운 질문이기에 대답을 위해 실마리를 찾는 것부터 쉽지 않다. 그러나 『인간의 사고와 행동양식은 무엇에 의해 지배되는가』 하는 질문은 비교적 쉬워 보이는데, 사진 예술에서는 그것을 학문으로 연구하기보다는 단지 표현할 뿐이다.

SERIES 1.TWO CONSCIOUSNESS & TWO UNCONSCIOUSNESS - 두개의의식과두개의무의식
SERIES 2. INVISIBLE FORCE - 보이지않는힘
SERIES 3.GENETIC FACTOR & HUMAN’S WILL - 유전인자와인간의지-
SERIES 4. ILLUSION - 환영


SERIES 1. TWO CONSCIOUSNESS & TWO UNCONSCIOUSNESS - 두개의의식과두개의무의식

시리즈1의 주제는 인간의 의식(Consciousness)과 무의식(Unconsciousness)에 관한 것으로서,지그문트프로이드(Sigmund Freud)의 정신분석학에 나오는 ID(원초아), EGO(자아),SUPER EGO(초자아)를 주체로 인간의 무의식을 지배하는 LIBIDO(성욕)과 THANATOS(죽음의 본능)를 모티브로 삼고있다.

LIBIDO(성욕)와 THANATOS(죽음의 본능)는 얼마나 강하게 의식을 지배하는가? 의식은 그들의 강력하고 일방적인 그리고 물리치기 어려운 요구에저항하여 이성의 통제를 유지할 수 있는가? 인간이 무의식의지배를 받는다면, 의식이 이성을 갖추고 본래의 인간 존엄성을지키기 위해서 또 다른 의식이나 초자아의 힘에 의지해야 하는 것인가? 의식은 무의식의 터치로 발현되며, 무의식의 소멸은 의식의 소멸을 가져오는가?

작품설명 :
4명의 무용수는 의식은 무의식의 터치로부터 시작되며 화합, 사랑, 섹스, 증오는 의식과 무의식의 결합, 간섭, 그리고 갈등으로 전개되며, 무의식의 소멸은 의식의 소멸로 발전한 다는 개념을 표현하고 있다.

SERIES 2.INVISIBLE FORCE - 보이지않는힘

시리즈2의 주제는 인간의 사회화(socialization)에 관한 것으로서, 수많은 관념과 편견들 은 Invisible Force(보이지않는 힘)가 되어 인간 행동양식을 지배하는 요인(Factor)이 된다 성인이 될 때까지 사회는 인간이 사회에 동화되도록 교육과 사회적 관습과 문화를 통해 사회화가 되도록 한다. 많은 관념은 일정한 룰을 형성하게 되고, 하나의 가치에 대하여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일방적인 판단을 하게 되는편견을 만든다. 이것은 인간의 인간성을 파괴하고 주변사람에게 커다란 상처를 주고, 지구환경을 파괴하고 인류의 문화를 파괴한다. 자신으로부터 생긴 편견 때문에 생기는파괴의행위를 생생하게 끄집어내서 정당한 재판을 한다면, 아마도 모든 사람이 제대로서있지 못할 만큼고통스러울 것이다. 교육을 통하여, 사회적 관습에 싸여서, 도덕이라는 이름으로, 생존이라는 집단이기주의에 의해서 그리고 외모, 인종, 피부색, 종교, 성별, 가문, 빈부, 교육 정도, 국력…등등에 의해서 형성되는 지독한 편견은 파괴와 전쟁을만든다.

작품설명 :
마네킹으로서 인간이 되는 것은 기적이 있어야 하겠지만, 마네킹이 인간의 모습을 갖게 된다고 하더라도, 인간이 인정하는 인간이란 교육을 받고 사회화를 마친 인간이다. 그 과정에서 주변의 마네킹들이 부숴지게 된다, 인간이 된 마네킹은 과연 그런 잠재된 파괴의 결과를 감당할 수 있을까… 그로 인한 갈등과 번뇌 속에 보이지 않는 힘을 표현하였다.

SERIES 3. GENETIC FACTOR& HUMAN’S WILL - 유전인자와인간의지

시리즈3의 주제는 인간의 유전자(GENE)에 관한 것으로서, DNA사슬에 들어있는 인간의 유전자가 잉태되는 순간부터 신체의 각 부분을 순서적이고도 논리적으로 구성할 때 인간의 감정과 사고방식을 같이 형성하고, 그래서 『유전자가 육체뿐 아니라 인간의 사고와 행동 양식도 지배하고 있는가』 하는 물음이다. 간단히 생각하면 신경조직은 육체의 반응을 사고에 연결하며, 각종 호르몬은 인간의 취향, 성격, 행동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아직까지 밝혀지지 못한 수많은 각각의 유전자의 역할이 밝혀진다면, 그것이 더욱 선명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유전자가 신체를 만들면서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을 만들고 지배한다면, 인간의 고유의 이성적인 사고 역시 미리 만들어져서 그렇게 밖에 사고할 수 없는, 태어날 때부터 정해 져 있는 유물론적인 이론에 좀더 가까울 것이다. 그것을 부정하고 싶다면 유전자에게 이성이 있다고 주장해야 할 것인데, 아마도 유전자가 인간의 신체구성과 생명 활동하는 것을보면 훌륭한 건축물을 과학적으로 짓고 운영하는 것처럼 무척 논리적인 이성을 갖추고 있어 보이기도 한다. 그러면 의식과 이성은 유전자의 것인가? 아니면 인간의 이성은 유전자의 행동요구를 벗어나서 스스로 판단하여 그 명령을 거부할 수 있는가?

작품설명 :
유전자의 명령에 순응한다면 곤봉(Indian Club)을 가짐으로 좀더 행복하게 보일 수도 있다. 유전자의 일방적인 명령에 대항하여 인간의 이성은 유전자를 배제하고 함께 번영 할 수 있을까? 유전자가 리본(Ribon)처럼 생긴 DNA사슬을 휘두르면서 I don’t care(너희 들이 무엇을 하든 나를 따라야 한다)를 외치기도, 또 후프(Hoop)를 흔듦으로 인간의 획일성을 주장하고일방적 질주를할 때 인간의 이성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유전자를 배제하고 인간끼리 후프에의지해서연결하려는 몸짓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게다가 유전자는 종종 유전정보로 보이는 볼을 떨어 트림으로서, 그것이 실수이건 고의이건 인간을 지배하려고 한다.

SERIES 4. ILLUSION - 환영

시리즈 4의 주제는 자기와 자기의 자기, 자기의 자기와 관계하는 관계로서의 자기이다.
자아는 많은 관념으로 인하여 혼란에 쌓여있고, 무의식의 분노와 성욕으로 인하여 오염되어있다. 스스로 혼란과 오염이 다가오는 것을 깨닫고, 깨닫는 자아가 자기의 자아임을 깨닫는다면, 자아를 관념과 무의식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자아가 자기의 중심이라기보다는 무의식, 관념, 유전자의 힘과 함께 관계하는 관계일 뿐이다.

작품설명 :
“인간은 정신이다. 그런데 정신은 무엇인가? 정신은 자기이다. 그러면 자기는 무엇인가? 자기는 자기자신과 관계하는 관계이며같은 또는 그 관계 안에서 자기 자신과 관계하는 관계이다. 자기는 관계가 아니라 자기자신과 관계하는 관계이다. 인간은 무한한 것과 유한한 것의, 시간적인 것과 영원한 것의, 자유와 필연의 종합이며, 간단히 말해서 종합이다. 종합은 그 둘의 관계이며, 이렇게 보건대 인간은 아직 자기가 아니다.”

쇠렌키르케고르, 『죽음에 이르는 병』, 임규정 역, (한길사, 2007)

“The human being is spirit. But what is spirit? Spirit is the self. But what is the self? The self is a relation which relates to itself, or that in the relation which is its relating to itself. The self is not the relation but the relation‘s relating to itself. A human being is a synthesis of the infinite and the finite, of the temporal and the eternal, of freedom and necessity. In short a synthesis. A synthesis is a relation between two terms. Looked at this way a human being is not yet a self. “

SørenKierkegaard, 『The Sickness unto Death』, trans. Alastair Hannay (PENGUIN CLASSICS)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