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63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제목 그렇게 끝없이, 미로_아리아드네의 실
전시기간 2015. 2. 24 ~ 3. 14
전시장소 사진‧미술 대안공간 SPACE22
갤러리 주소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390번지 미진프라자빌딩 22층 (02-3469-0822)
작가 홈페이지 http://www.minholee.com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space22.co.kr
관람시간 월~토 11:00~19:00 |일요일, 국경일 휴관
기타 작가와의 만남 : 2015년 3월 6일(금) 5시~6시 30분 | SPACE22 세미나룸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는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되고 다시 실타래의 형태로 내려와 공간에 머문다. 삶에서 나온 부산물이 자연의 순환에 연결되어 가장자리에 머물다 다시 삶의 공간 하지만 시작과 끝의 경계가 모호한 장소로 돌아오는 순환의 고리를 얘기한다. 실타래가 의미하는 끝없이 이어지는 미로_물질적, 정신적 미로_가 삶의 주변을 무심한듯 부유하며 주위를 환기시키는 장면이다.
  • ⓒ이민호 LEE Minho
  • ⓒ이민호 LEE Minho
    Fil blanc n.34, Inkjet Print,100x100cm, 2015
  • ⓒ이민호 LEE Minho
    Fil blanc n.35, Inkjet Print, 100x80cm, 2015
  • ⓒ이민호 LEE Minho
    Fil blanc n.47, Inkjet Print, 70x70cm, 2015
  • ⓒ이민호 LEE Minho
    Fil blanc n.50, Inkjet Print, 70x70cm, 2015
  • ⓒ이민호 LEE Minho
    Fil rouge n.2, Inkjet Print, 45x100cm, 2015
  • ⓒ이민호 LEE Minho
    Fil blanc n.6, Inkjet Print, 45x100cm, 2015
그렇게 끝없이, 미로_아리아드네의 실

‘사진・미술 대안공간’ SPACE22의 일곱 번째 중견・중진작가 지원전시로 이민호 개인전 [그렇게 끝없이, 미로_아리아드네의 실]을 기획한다. 이번 전시는 이민호 작가의 스물세 번째 개인전으로, 신작과 더불어 [휴대용 풍경(Portable Landscape)]시리즈 중 일부도 소개된다. 그간 현대(인)의 초상(풍경)을 탐구하며 경계구역 너머로의 새로운 이동을 해 온 작가에게 해독과 길 찾기가 불가한 미로가 새로운 화두가 되었다. 정주보다 유목의 단막들을 작품의 소재이자 배경으로 이어 온 작가의 작업여정은 이번 전시에서 ‘미로’에 이르게 된다. 작가의 이전 작업들이 존재의 증명과 부재의 풍경을 표상해왔다면, 신작 [그렇게 끝없이, 미로_아리아드네의 실]에서는 ‘그렇게’ 떠도는 운명의 흔적들로 도저하다. 인간 노마드가 남긴, 이제는 폐허가 된 공장의 건축물과, 쓸모를 다한 박물관의 내부, 건설 도중에 폐기 된 리조트와 버려진 수영장, 통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지하도가 날라 갈 듯 푸르스름하게 자취하고 있고, 작가는 그곳에 명주실타래를 뭉치거나 꼰 채로 공간과의 삼투를 시도한다. 익명의 공간에서 구체적인 사물과의 초(비)현실적인 결합을 통해 작가는 무엇을 이야기하려는 것일까. 우연히 봉착한 미로에서 필연의 아리아드네의 실을 따라가면 잠시라도 정주할 수 있는 휴식의 장소-오아시스에 도달할 수 있을까.

열락의 신 디오니소스의 아내이자, 영웅 테세우스에게 미궁을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실타래를 건네준 여인 아리아드네의 이야기는 오아시스를 희구하는 현대인들에게 눈멈(재현할 수 없음)과 봄(인식)을 동시에 제안한다. 이 둘은 이항적으로 대립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미로에 닿은 자는 분명 길을 잃은 자이고, 그 때 비로소 길 찾기를 위한 아리아드네의 실이 등장할 수도 있다는 역설을 보여준다. 즉 우연인 것 같지만 필연적으로 곳곳을 헤매야만, 우연처럼 아리아드네를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연모했던 테세우스와 헤어져 낙소스 섬에서 디오니소스를 만나게 된 것은 아리아드네에게는 우연이었겠지만, 목표가 분명했던 테세우스의 갇힌 영토보다, 가는 곳 마다 축제의 장(場)이 열리고 아름다움을 향유할 줄 알았던 디오니소스와의 만남은 우연을 은폐한 필연이었을 것이다. 노마드의 이야기는 단순한 길트기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헤매면서 모험하고 목적 없이 이동하는 흔적들에 다름 아니다. 이번에 전시 될 작품 타이틀 중, ‘빨간 실(Fil rouge)’에 ‘길잡이’라는 이중의 의미가 있는 것처럼, ‘길을 잃는다’는 것은 ‘길을 찾는다’와 동의어이다. 관성과 중력에서 벗어나 휴대용 박스에 풍경을 담아 끝없이 이동하던 이민호에게 아리아드네는 통일된 구조가 아닌 이질적이고 가변적인 장소에 실타래를 던져준다. 모든 예술가가 불확실성과 재현할 수 없는 두려움에 처하면서 낯선 미궁에 이르러서야 새로운 작품-흔적을 남기듯이. 하지만 오아시스는 잠시다. 풍요로운 영토는 정주하는 이에게는 획일적이고 동일한 아이덴티티를 부여하겠지만, 반쯤 뜬 눈으로 다른 삶과 사유를 더듬는 노마드에게는 곳곳이 미궁일 터.

그러한 의미에서 현대인의 정주지에 출몰하는 더는 유용하지 않은 공간(장소성을 잃어버린)들이 이민호의 작업에서 오아시스처럼 배치된 것은 사뭇 의미심장하다. 이 장소들은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마크 오제의 ‘비-장소’를 연상하게 하는데, 현대의 문명 속에서 분명히 실제 하는 장소로 존재해 왔지만 역사에서 밀려났거나, 버려진 채로 지금은 장소 밖에 존재하는 특이하고 실체도 분명치 않은 공간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고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주될 수 있는 실제 하는 가상의 공간/장소들이기도 하다. 공간의 고유성은 결여되고 실체감도 상실한 가상의 공간, 지금 있지만 아무데도 없는(now here, no where)곳. 여기에 신화의 상징소인 실타래를 엮어 놓음으로써 한 때 분명히 장소로서의 역할을 했으나, 지금은 익명의 공간이 되어버린 현대의 미궁을 가시화하고 있다. 유목하는 여행자, 이민호 앞에 열린 풍경은 ‘그렇게…끝없이…끝없이…’이어지는 공간들일 뿐이다. ‘굴뚝1,2,3’의 쓰레기 소각장에서 무섭고 기이하게 끊임없이 올라오는 연기처럼, 그 연기가 하늘이라는 공간으로 수직상승하다가 옆으로 퍼지고 구름처럼 안개처럼 다양한 형상으로 와해되고 무상하듯이 말이다.

그렇게 끝없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불가지한 삶의 풍경들, 역사의 의미는 희미해지고, 장소의 기념비적인 특성이 무화되면서 자기 자신을 스쳐 지나가듯 마주하는 ‘비-장소’는 이번 작품의 전경이자 후경이 된다. 뿌리 내릴 수 없는 유목민-작가는 계속되는 뿌리 뽑힘을 운명으로 길트기를 시도하고, ‘아리아드네의 실’을 따라 언제나 출구를 향해 나아가지만, 언제나! 해결이 불가능한 상태에 놓인다. 현대인의 정체성과 익명성을 작업의 아리아드네 실로 삼아온 작가에게 정주와 표류가 ‘봄’과 ‘눈멈’처럼 동체이듯이, 사진적 핍진성과 가상의 여행이 부딪히는 몽환의 여정에 주목하게 된다.

글 : 최연하(SPACE22 큐레이터)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는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되고 다시 실타래의 형태로 내려와 공간에 머문다. 삶에서 나온 부산물이 자연의 순환에 연결되어 가장자리에 머물다 다시 삶의 공간 하지만 시작과 끝의 경계가 모호한 장소로 돌아오는 순환의 고리를 얘기한다. 실타래가 의미하는 끝없이 이어지는 미로_물질적, 정신적 미로_가 삶의 주변을 무심한듯 부유하며 주위를 환기시키는 장면이다.

나의 작업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는 정체성, 익명성에 관한 얘기이다. 이번 사진작업 시리즈에서는 그리스신화의 “아리아드네의 실”로 정신적 미로와 그 장소의 무한반복 속에서의 길. 즉 정체성을 잃은 현재 우리의 정신들을 투영해 보았다. 미로는 가능성과 불가능성 자체가 불투명하고 불확실한 '모호함' 이 지배하는 장소이다. 불가능해 보이는 출구 찾기 자체가 삶의 중심적인 관건이라면, 삶은 그 불가능해 보이는 출구를 찾는데 바쳐질 수밖에 없다. 익숙한 듯 현실에 널려 있는 사물들과 폐쇄된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출구를 향해 나아가며 외부와의 소통의 끈을 놓지 않으려는... 장소와 시간을 전혀 암시하지 않는 공기와 빛, 소리들이 만드는 이름 없는 풍경, 정교하고도 광택 나는 거리감으로 이루어진 익명으로 연결되는 지점과 분리의 지점을 얘기하려한다.

미로는 한 번 들어가면 길의 시작과 끝을 알 수 없는 공간이다. 그 속에서 무엇을 만나게 될지 그것이 어떤 존재인지 알지 못한 채 모험을 떠나야 한다. 바로 이 때문에 미로는 삶의 여정에 비유된다. 언제 미로에 뛰어들었는지 알아채기도 전에 우리는 지도 한 장 없이 그 속을 헤맨다. “당신의 미로에 있는 세 개의 선은 너무 많아. 나는 단 하나의 직선으로 된 그리스의 어느 미로에 대해 알고 있지. 수많은 철학자들이 그 직선 속에서 길을 잃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라고 보르헤스가 그의 소설에서 묘사했던 시간과 공간의 미로, 눈으로 보는 실제형태의 미로가 아닌 정신적 의미로의 미로를 무한 반복적이지만 미묘하게 변형된 형태로 시각적으로 재현하려 하는 것이 이번 작업의 주제이다. 미로에 대한 얘기를 하기에 적합한 사물들 중의 하나인 실뭉치들. 아직은 형태를 갖추지 못한 재료에 불과한, 어떻게 또 어디로 연결 될지 모르는 시간과 공간에 의해 완전히 다르게 갖춰지게 될 물질로 나는 보았다. 또 한편으로는 인간의 정신의 회로, 삶의 가닥들로 환원시켜 보았다. 한 인간 개체 속의 무한 반복되는 생각들과 감정의 씨줄 날줄들이 잘 정돈되거나 엉겨있는 모습으로 이곳 저곳을 배회하는 모습이다.

일상에서 한 발자국을 밖으로 뻗으면 불안의 구멍에 빠질 것 같은 순간들이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과학혁명과 그에 따른 급격한 기후변화들, 또는 멀지 않았던 과거의 몇몇 생활패턴들을 완전히 잊고 이젠 일상에서 쓰게 된 첨단기기들을 받아들여 응용하며 살고 있는 지금, 공상과학 영화의 이미지들이 현실이 아니라는 생각조차 불분명해지는 듯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게 되는 풍경 _시간과 함께 어우러진 인공적 풍경들은 자연풍경과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그 모호함이 좋다._ 그 속에 던져진 우리를 생각해 본다.
이민호 LEE Minho

성신여자대학교 독일어전공
파리 소르본느 1대학 조형예술학 DEA [박사과정]졸업
2005-2006 국립고양스튜디오 장기 입주 작가 프로그램 참여

개인전
2012: “ Linked Landscape”, 트렁크갤러리
2012: “ Invisible City_ Strange Site”, Yamaki Fine Art Gallery, 고베, 일본
2009: “Portable Landscape -바로크적 상상력”, K&gallery, 서울
2009: "Portable Landscape", Yamaki Fine Art Gallery, 고베, 일본
2008 : “Portable Landscape -On the Road, on the Dot", 터치아트갤러리, 헤이리아트밸리
2007: “Portable Landscape-휴대용풍경", 트렁크갤러리
2007: “We live here", Yamaki Fine Art Gallery, 고베, 일본
2006: “We are here”, 국립고양창작미술스튜디오 전시실
2004: “우리가 사는 이곳”, SEMEA 15 회사 로비, 파리
2004: “멀고도 가까운”, De Buci gallery (드뷔시갤러리), 파리
2003: Saint-Cyprien (생시프리앙) 시립미술관, 피레네 오리엔탈. 프랑스
2001: De Buci gallery (드뷔시 갤러리), 파리
2000: La Nacelle( 라 나셀) 오베르쟝빌 문화원, 오베르쟝빌
2000: Taylor Foundation ( 테일러 재단 미술관), 파리
1999: Musée et Bibliothéque de la Grande Loge de France (그랑로쥬 미술관), 파리
1999: De Buci gallery ( 드뷔시 갤러리), 파리
1999: 공평아트센터
1998 : Kunstherberg gallery ( 쿤스트헤어베르그 갤러리), 호머츠, 네덜란드
1997 : De Buci gallery (드뷔시 갤러리), 파리
1996: Bernanos gallery ( 베르나노스 갤러리), 파리
1995: Des Carrés gallery (데까레 갤러리), 베르사이유

그룹전
2014: “무빙 트리엔날레_ Made in Busan”, 여객터미널, 부산
2014: “열아홉개의 방”_더텍사스프로젝트
2014: “또 하나의 시뮬라르크_이민호 이소영 이인전”, 인덱스갤러리
2013: “Vision & Reflection_ 꿈의 1막”, 경북대미술관
2013: “박물관 이미지”, 동덕아트갤러리
2012: “바츠_혁명전”, 경기도미술관
2012: “자연_ 존재의 거울 /충무로사진축제”, 극동빌딩, 서울
2012: “전망 좋은 방”, 금산갤러리, 헤이리 아트밸리
2011: “Dual Image", 포항시립미술관
2011: “Poster Poster", 인터알리아, 서울
2010: “Close Encounter",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0: “ Frame Frame", 동덕아트갤러리
2010: “빛과 어둠의 경계에서”, KIC Art Center, 상하이 중국
2009: “제3회 서울국제사진페스티발”, Garden 5, 서울
2009: “숨비소리” -환태평양의 눈, 제주도립미술관 개관전, 제주
2009: “KIAF-국제아트페어(터치아트갤러리)”, 코엑스, 서울
2009: “Multiscape", 315 아트센터, 마산
2009: “공공의 걸작전”,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8: “창작해부학”,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8: “양평환경프로젝트”, 닥터박갤러리, 양평
2008: “풍경과 상상-그 뜻밖의 만남”, 아람미술관, 일산
2008: “창원 아시아 미술제/후기도시인 -길을 찾아서”, 성산아트홀, 창원
2008: “Young Photo-비틀기, 뒤틀기, 꼬집기”, 신세계 월갤러리
2008: “Photo Collection N.1", 리나 갤러리
2008: “A Sweet Illusion", 갤러리 한길, 헤이리아트밸리
2008: “2008 Wake up -한국사진의 새로운 탐색”, 갤러리 나우
2008: “은여우 프로젝트”, 트렁크갤러리
2007: "Portrait Croisé", 프랑스국립카드박물관, 이씨레물리노[Issy-les-Moulineaux] 市
2007: “한국현대사진의 스펙트럼전 -정물”, 트렁크갤러리
2006: "메르츠의 방", 서울미디어시티 비엔날레 특별전,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 분관
2006: "Frontières", 한불수교 120주년 특별전, 몽파르나스 뮤지움, 파리 바르뒥 아트센터, 뮤즈, 프랑스
2006: "SUB", 국립 고양창작미술스튜디오 오픈스튜디오, 고양
2005: "소나무: 서울-파리", 국제교류재단
2005: "프랑스 아치의작가들", 서울 구로구 초청 국제교류전, 구로구 애경백화점
2005: "ISSY 비엔날레", 프랑스 국립카드박물관, 이씨레 물리노市 , 프랑스
2004: "COREEgraphie / 꼬레그라피", 프랑스 국립 카드박물관, 이씨레물리노 市
2003: Salon de Montrouge / 몽후쥬 살롱전, 몽후쥬 市
..........“Mis à nu” / 미쟈뉘 , 한국문화원, 파리
2000: “Carte Blanche” / 까르뜨블량슈, 불로뉴 市 문화원
..........“Salon de Montrouge” / 몽후쥬 살롱전, 몽후쥬 市
1997: 4 인의 작가전, 러시아 상공회의소, 파리
..........Salon de Montrouge / 몽후쥬 살롱전, 몽후쥬 市
..........샤말리에르 판화 트리엔날레 전, 샤말리에르 市
1996: 몬테카를로 국제회화전, 모나코
..........상아트 트린엔날레전, 사비니르땅플 市
..........“Trace” 트라스 판화 비엔날레전, 파리
1995: Salon de Montrouge, 몽후쥬 살롱전, 몽후쥬 市
..........Biennale Sud , 이씨 비엔날레전, 이씨레물리노 市
..........Grands et jeunes d'Aujourd'hui / 그랑에줜느오주르디 살롱전, 파리 에스파스 브랑리
1994: Salon d'Art Contemporain / 바뇨 현대회화전, 바뇨 市
..........Itinraire 94 / 이티네레르 살롱전, 르발루와페레 市
..........Novembre à Vitry / 비트리 살롱전, 비트리 市
1993: 유럽연합 미술학교 전, 마아스트리쉬 시, 네덜란드

소장된 기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프랑스 SAINT CYPRIEN 현대미술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