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2017 09
2017.06.12 19:48

앙드레 케르테츠 André Kertész

조회 수 303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기간 2017. 6. 9 ~ 9. 3
전시장소 성곡미술관 Sungkok Art Museum, Seoul
갤러리 주소 서울시 종로구 경희궁길 42 T. 02-737-7650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sungkokmuseum.org
관람시간 화-일요일 10:00-18:00 Tuesday–Sunday 10:00-18:00
매표는 전시종료 30분전에 마감됩니다. last ticketing at 17:30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Closed on Mondays
관람요금 일반 (만 18세-64세) 5,000원 Adults (age 18-64): 5,000 won
청소년 (만12~17세) 4,000원 Youths (age 12-17): 4,000 won
어린이 (만 4~11세) 3,000원 Children (age 4-11): 3,000 won
20인 이상 단체 20% 할인 Group of 20+ persons: 20% reduction
국가유공자, 장애인, 65세 이상 4,000원Visitors with disabilities, age 65+: 4,000 won
주최 성곡미술관
주관 성곡미술관
후원 프랑스 문화부, 주드폼 국립미술관, 디크로마 포토그라피
André Kertész (1984-1985), whose career spanned over seventy years across Budapest, Paris and New York, is today acknowledg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hotographers of the 20th century. His images are sincere, faithful and profound, so much that each individual photograph seems to contain the tangible presence of the photographer. Born in 1894 in Budapest, Kertész was fifteen years old when his father died and his uncle, Lipot Hoffman, took responsibility of André and his two brothers, Imre and Jenö. After graduating from the Academy of Commerce, Kertész began working at the stock exchange. In 1912, he purchased his first camera, and began photographing his daily life, often taking as subject his relatives, friends, and the Hungarian countryside. Self-taught, Kertész remained faithful to his guiding principle: "what I feel, I do." Upon moving to Paris in 1925, he flirted with different movements such as Dadaism, Surrealism and Constructivism, but Kertész placed his point of view above everything else. Truthful to his own vision, Kertész underwent difficulties upon moving to New York in 1936. As he portrayed what he saw and what he felt, without sacrificing for the sake of customers or fashion, he could hardly get the support of commercial magazines and newspapers to earn a stable income. Kertész's bond with the visual world is so strong that each photograph contains a wealth of his feelings and emotions. Kertész is so undeniably present in each image, that these slices of life, of reality are at the same time a projection of the photographer. This exhibition brings together 189 photographs taken throughout Kertész's life, and is presented in three periods: Hungary period (1912-1925), Paris period (1925-1936) and New York period (1936-1985). In 1984, a year before his death, Kertész, eager to preserve his life's work, donated to the French Ministry of Culture 100,000 negatives and 15,000 color transparencies, from which the photographs in this exhibition are printed. This exhibition is organized by Jeu de Paume, Paris, in collaboration with la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France and diChroma photography, and with the participation of Sungkok Art Museum, for its presentation in Seoul.
  • 수영하는 사람, 에스테르곰, 헝가리 Swimmer Under Water, Esztergom, Hungary 1917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몬드리안의 집에서, 파리 At Mondrian’s, Paris 1926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몬드리안의 안경과 파이프 Mondrian’s Glasses and Pipe 1926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풍자극 무용수 Satyric Dancer 1926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자화상, 파리 Self-Portrait, Paris 1927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포크, 파리 The Fork, Paris 1928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깨진 원판, 파리 Broken Plate, Paris 1929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샹젤리제 Champs-Elysées 1929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에펠탑의 그림자, 파리 The Shadow of the Eiffel Tower, Paris 1929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엘리자벳과 나 Elisabeth and Me 1931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길 잃은 구름, 뉴욕 Lost Cloud, New York 1937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팔과 환풍기, 뉴욕 Arm and Fan, New York 1937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 우울한 튤립, 뉴욕 Melancholic Tulip, New York 1939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Dist. RMN-Grand Palais / Donation André Kertész
성곡미술관은 여름 특별전으로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사진작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히는 앙드레 케르테츠André Kertész(1894-1985)의 사진전을 개최한다. 케르테츠는 70여 년의 오랜 활동 기간 동안 부다페스트, 파리, 뉴욕을 옮겨 다니며 작품 세계를 펼쳤다. 그는 사조나 유행에 얽매이지 않고 사진을 통해 일기를 쓰듯이 자신의 솔직한 감성을 자유롭게 담아냈다.

독학으로 사진을 익힌 케르테츠는 “내가 보고 느낀 것을 그대로 표현한다”는 자신의 작업원칙에 충실했으며, 나아가 사진매체의 잠재적 표현 가능성들에 대해 연구했다. 그는 새로운 과학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속, 정확한 카메라를 통해 일상의 풍경을 치밀한 화면 구성과 흑백의 농담으로 더 깊고, 세밀하게 담아내었다. 케르테츠는 어떤 사조나 그룹운동에도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다다, 초현실주의, 구성주의 같은 모더니즘의 아방가르드 예술가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때로는 그들을 앞서나가는 혁신적인 작업을 했다.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Henri Cartier-Bresson이 “우리가 해온 것들은 모두 그가 처음으로 했던 것”이라는 말로 칭송했던 케르테츠는 브라사이Brassaï, 로버트 카파Robert Capa 등 사진의 거장들을 리드하며, 향년 91세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작업을 이어갔다.

이번 전시는 그가 일생에 걸쳐 작업한 189점의 작품들을 헝가리(1912-1925), 파리(1925-1936), 뉴욕 시기(1936-1985)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선보인다. 케르테츠는 세상을 떠나기 1년 전인 1984년 필생의 작품들을 보존하겠다는 열망으로 10만 점의 원판 필름과 1만5천 점의 컬러 슬라이드 소장본을 프랑스 문화부에 기증했다. 본 전시는 그 원판으로 인화한 ‘모던 프린트’로 구성되었다.

“나는 빛으로 글을 쓴다.”
-앙드레 케르테츠André Kertész

“케르테츠의 셔터가 찰칵할 때마다 그의 심장이 뛰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앙리 까르띠에 브레송Henri Cartier-Bresson

“앙드레 케르테츠는 훌륭한 사진작가에게 필수적인 두 가지 자질을 가지고 있다.

세상, 사람, 그리고 삶에 대한 끝없는 호기심과 형태에 대한 정확한 감각이 그것이다.” – 브라사이Brassaï

“사진이란 우리 시대의 위대한 표현 예술이다.
각 시대는 저마다의 표현 수단을 갖고 있다.
사진 이미지의 낭만적인 힘은 그토록 막강한 것이어서
말로써는 무어라 가늠이 되지 않는다.”
- 피에르 마크 올랑Pierre Mac Orlan
André Kertész (1984-1985), whose career spanned over seventy years across Budapest, Paris and New York, is today acknowledg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hotographers of the 20th century. His images are sincere, faithful and profound, so much that each individual photograph seems to contain the tangible presence of the photographer.
Born in 1894 in Budapest, Kertész was fifteen years old when his father died and his uncle, Lipot Hoffman, took responsibility of André and his two brothers, Imre and Jenö. After graduating from the Academy of Commerce, Kertész began working at the stock exchange. In 1912, he purchased his first camera, and began photographing his daily life, often taking as subject his relatives, friends, and the Hungarian countryside.

Self-taught, Kertész remained faithful to his guiding principle: "what I feel, I do." Upon moving to Paris in 1925, he flirted with different movements such as Dadaism, Surrealism and Constructivism, but Kertész placed his point of view above everything else. Truthful to his own vision, Kertész underwent difficulties upon moving to New York in 1936. As he portrayed what he saw and what he felt, without sacrificing for the sake of customers or fashion, he could hardly get the support of commercial magazines and newspapers to earn a stable income. Kertész's bond with the visual world is so strong that each photograph contains a wealth of his feelings and emotions. Kertész is so undeniably present in each image, that these slices of life, of reality are at the same time a projection of the photographer.

This exhibition brings together 189 photographs taken throughout Kertész's life, and is presented in three periods: Hungary period (1912-1925), Paris period (1925-1936) and New York period (1936-1985). In 1984, a year before his death, Kertész, eager to preserve his life's work, donated to the French Ministry of Culture 100,000 negatives and 15,000 color transparencies, from which the photographs in this exhibition are printed.

This exhibition is organized by Jeu de Paume, Paris, in collaboration with la Médiathèque de l'architecture et du patrimoine,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France and diChroma photography, and with the participation of Sungkok Art Museum, for its presentation in Seoul.

I. 헝가리 시기(1912-1925)

1894년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난 앙드레 케르테츠는 1912년 처음으로 카메라를 구입한 후 마치 일기를 쓰듯 전원의 목가적 생활과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촬영했다. 특히 남동생 예뇌Jenö를 비롯한 가족들, 친구들은 작가의 모델로서 훌륭한 피사체가 되어 주었다. 1914년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으로 징집된 그는 전장에서도 카메라를 놓지 않았는데, 드마라틱한 전투 장면보다는 군인들의 소소한 삶의 모습에 더욱 관심을 보였다.

이 시기부터 케르테츠 사진에는 휴머니즘적 감수성과 아방가르드적 실험성의 전조가 동시에 드러난다. 사진작가로서 첫 발을 내디딘 그는 자유로운 사고와 감성에서부터 발원하는 영감을 기반으로, 자신이 애정을 두고 있는 사람들과 사물들, 풍경들을 시적이고, 서정적으로 표현하고자 다양한 방식을 모색했다.

“내 사진들은 현실보다는 꿈에서 나온 것처럼 보인다고 누군가 말했다.
나 자신과 내가 보는 것 사이에는 설명할 수 없는 어떤 끈끈한 연계가 있다.”

“좋은 사진은 우리 눈에만 뭔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 속 깊은 곳을 건드린다. 두 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우리의 시각은 항상 이미지와 영혼 사이를 오간다.

나는 사진을 찍으려고 일부러 나가지는 않는다.
평소 항상 카메라를 지니고 다니면서 내 눈을 사로잡는 것이 있을 때 멈춰 서서 찍는다. 종종 사진을 한 장도 찍지 못할 때도 있다.”
- 앙드레 케르테츠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부상을 당한 케르테츠가 에스테르곰에서 요양하던 중 촬영한 <수영하는 사람>은 당시 아방가르드 예술의 실험적 요소들이 담겨있는 작품이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고 촬영하는 하이앵글(high-angle)의 카메라 시점과 대각선 구도가 두드러지며, 수영하는 사람의 몸은 물과 빛의 반사작용에 의해 왜곡된 형태를 띤다. 주변에서 일어나는 평범한 삶의 모습 가운데 낯설고 기이한 장면을 찾아내는 케르테츠의 참신한 시선이 담긴 사진으로, 훗날 파리 시절에 작업한 <왜곡Distortions>(1933)시리즈의 전조를 알리는 작품이기도 하다.

II. 파리 시기(1925-1936)

1925년, 현대미술의 본거지인 파리의 몽파르나스 구역에 자리를 잡은 케르테츠는 다다, 초현실주의, 구성주의 등 모더니즘 예술운동의 선구자들과 활발하게 교류한다. 특히, 만 레이Man Ray, 몬드리안Mondrian, 브랑쿠시Brancusi, 샤갈Chagall, 그리고 콜레트Colette와 짜라Tzara와 같은 예술가들과 친밀하게 지내며, 파리에서 예술가로서 자리를 잡아갔다.

케르테츠는 파리의 수많은 신문과 잡지에 자신의 사진 작품을 출판하였고, 주요 전시에 작품을 출품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필름과 포토Film und Foto>(1929) 국제전에 만 레이와 함께 파리 아방가르드를 대표하는 작가로 참여한다. 1933년 여성의 누드를 뒤틀리게 표현한 <왜곡> 시리즈를 내놓아 보다 전위적인 시각적 실험을 전개했다. 이러한 왕성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케르테츠는 자신의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특정 예술운동에 참여하지는 않았다. 대신 모더니즘의 실험적 조형 언어인 ‘거울 유희’, ‘반사’, ‘그림자와 복제’, ‘전면 구성’, 혹은 ‘야경과 명암의 대비’ 등을 자신의 표현기법으로 소화하여 작업에 반영함으로써, 자유로운 정신과 새로운 비전을 추구하는 사진적 아방가르드의 주역이 된다.

“나는 오직 파리로 가야만 한다는 생각으로 파리에 갔다. 그 이유는 모르겠다.
나는 한동안 생활할 수 있는 약간의 돈이 있었고, 그리고 내겐 창조적 힘과 꿈이 있었다.”

“사진만이 나의 유일한 언어이다.”

“나는 기록하지 않는다. 나는 해석할 따름이다.”

- 앙드레 케르테츠

파리 시기 초기에 등장한 케르테츠의 정물 사진은 단순한 기하학적 구성과 사물의 그림자를 통한 이미지의 중첩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그는 헝가리 출신의 화가였던 라요스 티하니Lajos Tihanyi의 <파이프가 있는 정물화Still Life with Pipe>(1923)에서 영감을 받아 <몬드리안의 안경과 파이프>(1926)를 제작했다. 이 정물 사진은 케르테츠의 대표적인 걸작으로, 오각형의 테이블과 삼각형의 어두운 공간이 대비를 이루는 안정된 구성과 함께, 안경과 재떨이, 파이프가 지닌 원의 형태를 리듬감 있게 표현했다. 또한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앵글로 촬영하여 물건들의 상호 배치와 그림자로 인한 중첩된 이미지는 더욱 두드러지며 사물의 입체감이 도드라진다. 또한 몬드리안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물들을 통해 인물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화가의 체취와 존재가 느껴진다.

1936년 뉴욕으로 이주할 당시, 케르테츠는 자신의 원판 필름 대부분을 파리에 놓고 떠났다. 이후 20여 년이 지나 케르테츠가 다시 파리로 돌아가 작품들을 되찾았을 때, 유리 원판 네거티브 필름들 중 절반 이상은 손상되고 깨진 상태였다. 그 중의 한 작품인 <깨진 원판>은 1929년 파리의 몽마르트에서 촬영한 것으로, 당시 그는 새로운 렌즈를 테스트하던 중이었다. 훗날 이 유리 원판을 되찾은 케르테츠는 깨져서 구멍이 생기고 금이 간 원판을 그 상태 그대로 인화함으로써 우연에 의한 미학적인 효과를 만들어냈다.

케르테츠는 자신과 연인 엘리자벳Elisabeth의 모습이 담긴 초상사진을 여러 번 크로핑(cropping)하여 최종적으로 이 사진을 도출해냈다. 절반만 보이는 엘리자벳의 얼굴은 그녀가 케르테츠의 분신임을 암시하면서 어깨에 얹은 그의 손과 함께 한 몸을 이루는 것으로 표현했다. 부분의 세부를 클로즈업시켜 전체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케르테츠 사진의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왜곡Distortions>(1933)시리즈
1930년 『뷔Vu』 잡지가 카를로 림Carlo Rim 신임 편집장의 초상화를 앙드레 케르테츠에게 주문하자, 그는 편집장을 놀이동산의 ‘뒤틀린 거울’ 앞에서 포즈를 취하게 한 후 촬영하여 괴물처럼 변형된 놀라운 이미지를 제작한다. 이어서 케르테츠는 1933년 도색 잡지 『미소Le Sourire』의 주문을 받아 한층 더 왜곡된 여성 누드 사진을 제작함으로써 자신의 예술적 실험을 한발 더 전진시킨다. 이렇게 탄생한 <왜곡>시리즈를 케르테츠는 ‘파리 시기’에 본격적으로 작업하였다. 하지만 이 실험적 작업은 이미 '헝가리 시기'부터 일종의 ‘광학적 변형’ 또는 ‘그림자의 투영’에 관심을 두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기하학적 구도가 돋보이며 빛을 효과적으로 다룬 <수영하는 사람Swimmer Under Water>(1917)과 <포크The Fork>(1928)는 <왜곡>시리즈의 전조를 알리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기이함과 기괴함을 통해 역설적으로 여성신체의 신비로움을 깊게 탐닉한 <왜곡> 시리즈는 이미지에 대한 케르테츠의 반 사실적, 반 묘사적 개념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축 쳐진 목과 늘어난 발, 기괴하게 뒤틀린 이미지들은 곡선으로 이뤄진 루벤스Rubens의 풍만한 여성의 몸이나 앵그르Ingres의 지나치게 긴 척추를 가진 여인의 메아리로 보이기도 하고, 또는 벨머Bellmer의 절단되고 불구가 된 인형의 이미지를 상기시킨다. 한편으로 이러한 시도는 초현실주의가 추적한 무의식의 세계에 대한 실험과도 맞닿아 있는데, 당시 케르테츠를 비롯해 만 레이, 브라사이, 카르티에 브레송과 같은 작가들 역시 인간의 무의식의 세계를 이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현실을 변형, 왜곡시키는 실험적 이미지들을 다수 제작했다. 이러한 <왜곡> 시리즈는 당시에는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고 한참 뒤에 재조명되었는데, 뉴욕 시기의 후반부인 1976년에 이르러서야 12컷의 왜곡 이미지로 구성된 책이 출판되었다.

III. 뉴욕 시기(1936-1985)

1936년 케르테츠는 사진 대행사 키스톤Keystone 에이전시와 계약을 맺고 아내 엘리자벳과 함께 뉴욕으로 떠났다. 하지만 계약은 1년 남짓 지속된 후 파기되었다. 『보그Vogue』, 『하퍼스 바자Harper’s Bazzar』 등 다수의 잡지사들이 케르테츠의 작업에 관심을 보였지만, 그의 사진은 대중적 이미지로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37년 뉴욕의 PM갤러리와 1946년 시카고미술관에서의 전시회에도 불구하고 뉴욕에서의 그의 생활은 심적으로 물질적으로 어려움에 봉착했다. 적은 수익, 연이은 실패, <왜곡> 시리즈에 대한 몰이해와 외국인으로서의 장벽 등이 결국 그에게 우울증을 안겨주었다. 1944년 미국 시민권을 얻은 케르테츠는 1947년 『하우스 앤 가든House & Garden』지와의 작업을 위해 콘데 나스트Condé Nast 그룹사와 독점 계약을 체결했지만, 주로 인테리어 사진을 제공해주던 그는 안정된 수입원을 확보할 수는 있었으나 상업적 작업을 지속하기가 힘들었고 결국 1961년 은퇴를 한다.

아울러 워싱턴 스퀘어가 내려다보이는 5번가 12층 아파트에 정착한 1952년 이후 다시 작업의 열정을 되찾기 시작하는데, 아파트의 테라스에 머물며 망원렌즈의 줌을 이용하여 주변의 생활을 포착하는 작업에 매진하였다. 그러나 그는 ‘스트리트 포토그래퍼’처럼 거리와 장소를 옮겨 다니며 시대적, 사회적 장면에 몰두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광장에 머무는 사람들의 특이한 행태와 풍경을 오랜 시간 기다림 끝에 마치 ‘발견된 오브제’처럼 찾아내었다. 케르테츠에게 뉴욕은 자신의 다양한 생각들의 공명상자와도 같아서, 그 생각들을 사진이라는 메아리로 돌려주는 것뿐이었다. 직관적이고 암시적인 그의 스타일은 뉴욕의 황폐한 벽돌 담, 그림자나 철근, 외부 계단의 얽힘 속에 자신의 멜랑콜리를 주입하기에 충분했다.

케르테츠의 예술성은 삶의 후반에 들어서며 높이 평가 받기 시작했다. 1959년 『인피니티Infinity』지가 게재한 케르테츠에 관한 기사는 그의 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고, 마침내 1964년 뉴욕현대미술관(MoMA)에서 대규모 개인전을 개최하게 된다. 이 전시를 계기로 세계 주요 도시에서 그의 작품을 소개하는 순회전이 이어졌다. 또한 이즈음 그는 뉴욕으로 건너오기 전 파리에 남겨 두었던 원판 필름 상자를 찾아왔다. 헝가리와 파리 시기의 자신의 작품들을 다시 접하게 된 케르테츠는 생기를 회복할 수 있었다. 이어서 발행한 두 권의 책 『나는 파리를 사랑한다J’aime Paris』(1974)와 『뉴욕에 대하여Of New York』(1976)는 케르테츠가 파리와 뉴욕의 서로 다른 문화 환경 속에서 겪은 갈등을 보여준다. 1977년에는 파리 퐁피두센터Centre Pompidou에서 케르테츠의 개인전이 열렸는데, 안타깝게도 부인 엘리자벳이 전시 개막 직전에 사망한다. 이후 케르테츠는 세상을 떠난 엘리자벳에 대한 사랑을 담은 폴라로이드 사진을 다수 제작한다. 그에 따르면 폴라로이드는 “작품의 내재적 요소를 보다 더 수월하게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었다. 케츠테츠는 1985년 9월 28일 뉴욕 자신의 집에서 세상을 떠났다.

『라이프Life』지 편집장은 1937년 케르테츠가 처음 미국에 왔을 때 그의 작품을 게재하기를 거절했는데,
왜냐하면 그의 이미지들은 “너무나 많은 것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케르테츠의 사진들은 우리를 반성하게 만들고 문자 그대로의 뜻과는 다른, 어떤 의미를 암시했기 때문이다.
-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카메라 루시다Camera Lucida』 중

앙드레 케르테츠의 뉴욕시기는 친구들, 예술가들과의 교류가 끊긴 고립되고 외로운 시기였다.

파리에서 인정받았던 사진가로서의 커리어가 외면당했던 당시, 그는 고독한 자신의 모습을 사진 속에 은유적으로 표현했다.
<길 잃은 구름>은 뉴욕의 현대성을 상징하는 록펠러 센터와 부딪히는 구름을 통해 뉴욕시기 방향감각을 상실한 채 소외되었던 자신의 모습을 표현했다. 인물이 부재한 채 몰개성화되고 부분적으로 보여지는 건축물의 형태와 함께 홀로 부유하는 구름은 소외와 고독이라는 정서를 전달한다. 이처럼 그가 포착한 뉴욕의 모습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대도시의 전형적인 풍경이 아니라 파편화되고 고립된 익명의 도시 형태를 띠고 있다.
<우울한 튤립> 역시 시들어 아래로 축 처진 튤립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꽃병에 의해 왜곡된 줄기의 형태는 정서적 표현으로 기능하며, 빛과 어둠의 강렬한 대비는 고뇌하는 자신의 모습을 극적으로 표현한다. 이 작품에서도 <왜곡>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볼록거울을 이용해 이미지의 부분적인 왜곡이 드러난다.
헝가리 시기(1894-1925)
1894년 7월 2일 부다페스트 출생.
1909년 부친 사망. 부다페스트 상업고등학교 입학.
1912년 첫 카메라 구입. 상업학교 졸업 후 증권거래소 취업.
1914년 1차 대전 중 징집되어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에 입대.
1915년 1월 장티푸스에 걸림. 8월 전투 중 팔과 가슴에 심한 부상을 입음.
1917년 3월 예술사진 주간지 『아즈 에르데케스 우이새그Az Érdekes Újság』에 처음으로 작품 게재.
1918년 전쟁 마지막 달, 브라일라에서 전역한 후 증권거래소로 복직.
1918년 훗날(1933년) 결혼하게 될 엘리자베트 살라몬Erzsébet Salamon 만남.
1920년 5월부터 7월까지 화가이자 양봉가인 에데 팝스트Ede Papszt를 위해 사진 작업.
1924년 전국 아마추어 사진작가협회(MAOSZ)주최 그룹사진전 참가.
1924년 작법을 배우기 위해 헝가리 사진작가 안젤로(팔 펑크Pál Funk)의 견습생이 되나 한 달 만에 그만 둠.
1925년 6월 25일, 아우 예뇌Jenö와 함께 작업한 야경 사진이 예술사진 주간지 『아즈 에르데케스 우이새그』표지 사진으로 실림.

파리 시기(1925년-1936년)
1925년 10월 8일 파리 도착. 11월 17일 경찰청에 ‘포토저널리스트’로 등록.
1925년 가족에게서 ‘괴르츠-안고 안쉬츠Goerz-Ango Anschütz’ 10x12.5cm 카메라를 선물 받음.
1926년 독일 출판사를 통해 작품 몇 점을 처음으로 출판함.
1926년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을 그의 화실에서 만남.
1927년 3월 오 사크레 뒤 프랭탕Au Sacre du Printemps 화랑에서 첫 개인전
1928년 첫 라이카 카메라 구매, 예술사진 잡지 『뷔Vu』에서 작품 의뢰를 받음. (1936년까지 정기적으로 작품 게재)
1928년 10월 27일 로지 클라인Rozsi Klein과 결혼.
1928년 살롱 드 레스칼리에Salon de l’Escalier 에서 열린 <파리 아방가르드 사진전> 참가.
1928년 브뤼셀 레포크L’Époque 화랑에서 열린 <국제현대사진전> 참가,
1929년 독일 에센 <현대사진전Fotografie der Gegenwart> 참가.
1929년 슈투트가르트 <필름과 포토Film und Foto>전 참가.
1929년 엘리자벳 살라몬 파리 도착, 로지 앙드레와 결별.
1929년 <파리국제식민지사진전Exposition Coloniale Internationale de Paris>에서 은메달 수상.
1929년 예술사진 전문지 『예술과 의학Art et Médecine』에 정기적으로 작품 게재 시작.
1933년 6월 17일 엘리자벳 살라몬과 결혼. 같은 달 28일 모친 별세. 장례식 참석 차 엘리자벳과 부다페스트 행. 첫 사진집 『앙팡Enfants』출간.
1934년 11월 작품 의뢰를 받아 부다페스트 행.
1934년 『앙드레 케르테츠가 본 본 파리Paris vu par André Kertész』가 피에르 마크 올랑Pierre Mac Orlan의 해설과 함께 출간.
1936년 10월 2일, 아내와 함께 미국 비자 획득. 10월 15일 미국 도착. 키스톤Keystone 스튜디오와 계약 체결.

뉴욕 시기(1936년-1962년)
1936년 10월 15일 아내와 함께 뉴욕 이주.
1937년 유수의 잡지사들과 작업하면서 키스톤 스튜디오와는 계약 종료.
1937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PM화랑에서 첫 개인전.
1937년 보몬트 뉴홀Beaumont Newhall이 기획한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역사적인 전시 <포토그래피 1839-1937>전 참가.
1938년 『하우스 앤 가든House & Garden』, 『보그Vogue』지와 작업.
1938년 헝가리 출신의 종군기자 로버트 카파Robert Capa의 스페인 내전 사진집 『죽음의 현장Death in the Making』의 레이아웃 담당
1939년 사진 수급과 건강 문제로 어려움 겪음.
1941년 미국 내에서 적성국가 출신 이방인으로 간주되어 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음.
1944년 아내와 함께 미국 국적 취득.
1945년 전쟁 이전에 찍은 파리 풍경집인 『파리의 나날Day of Paris』출간.
1946년 시카고미술관에서 개인전 개최
1947년 『하우스 앤 가든』지와의 작업을 위해 콘데 나스트Condé Nast사와 매년 갱신가능한 계약 체결.
1947년 이 계약으로 1961년까지 정기적인 수입이 생김
1948년 프랑스 대사관으로부터 프랑스 전원 풍경과 기념비 사진 촬영을 의뢰받아 프랑스 방문. 이어 부다페스트와 런던 방문.
1952년 뉴욕 5번가 아파트 12층으로 이사. 워싱턴 광장과 주변부의 도시풍경이 작품의 중요한 소재가 되고 작고할 때까지 이곳에서 작업함.
1959년 예술전문지 『인피니티Infinity』에 케르테츠에 관한 글이 게재되자 미국과 해외에서 명성을 다시 명성을 얻음.
1961년 건강 상의 이유로 콘데 나스트 사와의 작업 중단. 12월, 계약 만료.
1962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머무는 동생 예뇌를 방문, 뉴욕 브루클린 소재 롱아일랜드 미술대학 에서 회고전 개최.

현장 복귀와 활동 재개(1963년-1985년)
1963년 4월 루체른에서 발간되는 예술 사진 잡지 『카메라Camera』에 케르테츠에 관한 기사가 사진 삽화와 함께 대서특필 되고,
1963년 베니스 사진 비엔날레에 출품.
1963년 파리에 두 달간 체류하며 프랑스 국립도서관(BNF)에서 개인전 개최
1963년 1936년 소장가인 자크린 포아익Jacqueline Paouillac에게 맡겨둔 원판 필름을 찾기 위해 프랑스 남부 로테갸론까지 여행.
1963년 전쟁기간 동안 숨겨져 있던 필름들을 회수함.
1964년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사진부장인 존 자코우스키John Szarkowski 주관으로 대규모 개인전 개최.
1964년 같은 미술관에서 <사진작가의 눈The Photographer’s Eye>전에 출품.
1965년 전미잡지사진작가협회 명예회원에 이름을 올림.
1966년 이고르 바크트Igor Bakht 만남. (반파시스트 활동을 하다 미국에 망명한 스페인 출신의 시각예술가로 케르테츠의 작품을 인화해줌.)
1967년 사진작가 로버트 카파의 동생인 코르넬 카파Cornell Capa가 기획한 세계 순회전
1967년 <숙고하는 사진가The Concerned Photographer>에 선정된 6명의 사진작가 중 한 사람으로 참여.
1972년 엘리자벳과 함께 카리브 해 동부에 있는 프랑스령 마르티니크 방문.
1972년 1912년부터 1972년까지의 대표작 회고 선집 『포토그래피 60년Sixty Years of Photography』을
1972년 사진 요판인 그라비어판heliogravure으로 인화,
1972년 건축과 디자인 전문출판사인 브라운Braun사에서 출간.
1974년 <왜곡> 시리즈 원판 필름 복원을 위해 존 시몬 구겐하임John Simon Guggenheim 재단 지원금 수혜.
1920년대부터 작업한 사진집 『나는 파리를 사랑한다: 20년대 이후 사진J’aime Paris, Photographs since the Twenties』출간
1975년 사진집 『워싱턴 광장Washington Square』출간. 7월 아를에서 열린
1975년 제6회 <랑콩트르 국제사진전Rencontres Internationales de la Photographie> 주빈으로 초대됨.
1976년 사진집 『뉴욕에 대하여Of New York』와 『왜곡Distortions』 연작 출간.
1976년 프랑스 문예부 공로 훈장the honor of Commander of Arts and Letters 수여 받음.
1977년 퐁피두센터Centre Pompidou에서 회고전 개최 직전인 10월 21일 아내 엘리자벳 사망.
1977년 앙드레 & 엘리자벳 케르테츠 재단 설립.
1979년 폴라로이드 SX-70 카메라로 작업 시작.
1979년 아를 <랑콩트르 국제사진전Rencontres Internationales de Photographie> 참가.
1981년 엘리자벳에게 헌정한 폴라로이드 사진 모음집 『나의 창문에서From My Window』출간.
1984년 테리 벤-다미쉬Teri Wehn-Damisch가 제작한 TV용 영화
1984년 <도시의 앙드레: 부다페스트, 파리, 뉴욕André dans les villes: Budapest, Paris, New York> 제작됨.
1984년 새로운 <왜곡> 시리즈 제작.
1984년 3월 30일, 자신의 원판 필름과 기록물, 서신을 프랑스 정부에 기증.
1985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개인전 개최 후, 병상에 있는 동생 예뇌 방문.
1985년 뉴욕으로 돌아온 후 9월 28일 사망.

1985년 이후 주요전시
1985년-1986년 시카고미술관, 뉴욕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앙드레 케르테츠, 파리와 뉴욕에서 André Kertész, of Paris and New York>전
1994년-1995년 파리 파빌롱 데자르 미술관, 사진의 달 기념 전시 <앙드레 케르테츠, 삶의 화신André Kertész, le double d’une vie>전
2005년 워싱턴 D.C. 내셔널갤러리,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앙드레 케르테츠André Kertész>전
2006년 파리 메종 유로펜 드 라 포토그라피에Maison Européenne de la photographie
1985년 <아이콘의 오디세이, 앙드레 케르테츠 3대 걸작L’Odyssée d’une Icône, trois photographies d’André Kertész>전
2010년-2011년 파리 주드폼 국립미술관Jeu de Paume, 빈터투르Winterthur 사진미술관, 베를린
2010년-2011년 마틴-그로피우스-바우Martin-Gropius-Bau 미술관 <앙드레 케르테츠André Kertész>전

주요 수상경력
1977년, 뉴욕시장 예술문화 공로상 수상
1980년, 뉴욕 국제사진예술딜러협회의 첫번째 연간 시상식 수상, 파리 시 메달 수상
1981년, 바르드Bard 컬리지 순수미술 명예박사, 뉴욕시장 예술문화 공로상 수상
1982년, 파리 문화부 수여 ‘그랑프리 나쇼날 드 라 포토그라피Grand Prix National de la Photographie’ 수상
1983년, 런던 로열 컬리지 오브 아트 명예박사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 수훈
1985년, 캘리포니아의 ‘주목할만한 경력Distinguished Career상’ 사진 분야 수상
1985년, 뉴욕 국제사진센터(ICP) 사진 마스터 최초 수상자로 선정, 뉴스쿨 파슨스 디자인학교 미술 명예박사 학위 취득

기타
1984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케르테츠의 프린트 100점 구입
1997년, 크리스티 경매, <몬드리안의 안경과 파이프>(1926) 케르테츠 작품들 중 최고가인 37만6천5백 달러에 낙찰

전시연계 특별강연회 : 총 6회 예정


* 당일 전시입장권 소지자 무료 참여
* 이메일 info@sungkokmuseum.org 사전신청 가능

​1. 앙드레 케르테츠와 모더니즘 예술운동 | 6/24(토), 2-4pm | 박상우(중부대 사진영상학과 교수)
​2. 앙드레 케르테츠의 헝가리와 파리 시기의 사진 | 7/8(토), 2-4pm | 진동선(사진평론가, 현대사진연구소 소장)
​3. 미국 현대사진에 대한 앙드레 케르테츠 | 7/15(토), 2-4pm | 박상우(중부대 사진영상학과 교수)
​4. 앙드레 케르테츠의 뉴욕시기의 사진 | 7/29(토), 2-4pm | 진동선(사진평론가, 현대사진연구소 소장)
​5. 포토저널리즘과 앙드레 케르테츠 | 8/12(토), 2-4pm | 이기명(『사진예술』 발행인)
​6. 스냅사진과 그 대가들 | 8/19(토), 2-4pm | 최연하(사진평론, 독립큐레이터)
​문 의 : 성곡미술관 학예연구실 Tel. 02-737-7650 서울시 종로구 경희궁길 42 E-mail. info@sungkokmuseum.org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