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2015.12.28 00:01

정지현 Jihyun Jung

조회 수 260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제목 SITE
전시기간 2015. 12. 18 ~ 2016. 2. 3
전시장소 BMW Photo Space, Busan
오프닝 2016. 1. 8(금) 18:00
갤러리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 299 BMW MINI 빌딩 2F (051-747-8100)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bmwphotospace.kr
BMW Photo Space features Jihyun Jung’s as the fifth Chung Photo Project from December 18, 2015 to February 3, 2016. Jung constantly has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demolishing and creating the dwelling, which is the closest place to a human, through the contemporary symbol of living, an apartment. Jung’s work focuses on the reconstruction site of apartment, and categorizes into the different series according the attitude towards the object of his work. At this point, the attitude as the attempt to merge to the object becomes the essence of his work. With these kinds of characteristics, this exhibition consists of Apartment(2005-6), Construction Site(2012), Demolition Site(2014), and the new series Reconstruction Site(2015).
  • ⓒ정지현 Jihyun Jung
    apartment, 01, Pigment Print, 120x150cm, 2005
  • ⓒ정지현 Jihyun Jung
    apartment, 02, Pigment Print, 120x150cm, 2005
  • ⓒ정지현 Jihyun Jung
    Construction Site, 01, Pigment Print, 125x155cm, 2012
  • ⓒ정지현 Jihyun Jung
    Construction Site, 20, Pigment Print, 125x155cm, 2012
  • ⓒ정지현 Jihyun Jung
    Demolition Site, 06 Inside, Pigment Print, 120x160cm, 2013
  • ⓒ정지현 Jihyun Jung
    Demolition Site, 06 Outside, Pigment Print, 120x160cm, 2013
  • ⓒ정지현 Jihyun Jung
    Reconstruction Site, 01, Pigment Print, 140x180cm, 2015
  • ⓒ정지현 Jihyun Jung
    Reconstruction Site, 02, Pigment Print, 140x180cm, 2015
BMW Photo Space에서는 2015년 다섯 번째 靑사진 프로젝트로 정지현의 [SITE]를 12월 18일부터 2016년 2월 3일까지 선보인다. 정지현은 동시대 주거형태의 표상인 아파트를 통해, 인간의 삶과 가장 밀접한 주거공간이 소멸〮생성되는 과정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왔다. 아파트 재개발 현장을 대상으로 하는 정지현의 작업은 대상에 대한 태도에 따라 각 시리즈로 나누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때 태도는 대상에 대한 개입으로서 작업 전개의 핵심이 된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특성이 두드러지는 Apartment(2005-6), Construction Site(2012), Demolition Site(2014), 신작 Reconstruction Site(2015)로 구성된다.

정지현은 아파트 재개발 현장을 새로운 도시의 완공 과정에 만들어지는 공백의 시간이라고 정의한다. 사람들이 볼 수 없는 그 시간은 도시의 목적에 의해 철거되고 건설되는 도시 순환구조가 압축된 시공간이다. 그와 동시에 존재의 역사라고 할 수 있는 개인적 경험과 기억이 반영된 주거공간의 상실이기도 하다.
이 공간 안에서 정지현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촬영 대상에 개입하고 그 흔적을 기록한다. 개입과 기록은 단절된 시간을 채우고 잇는 행위이자 비어버린 공간에 삶과 목적을 부여하는 행위가 된다. 각 시리즈는 개입방식의 적극성에 따라 단계적인 차이를 보이며, [SITE]는 각 네 가지의 시리즈를 통해 대상에 대한 개입 태도의 변화에 주목한다.

철거를 앞둔 1세대 아파트를 기록한 Apartment(2005-6)는 촬영 대상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지만 사진적 행위를 통해 대상에 대한 개입을 시도한 첫 작업이다. 이 시도는 아파트 건설현장을 촬영한 Construction Site(2012)에서 공사장 안의 사물들을 소극적으로 재배치하고 촬영하는 첫 물리적 개입으로 이어진다. 이후 Demolition Site(2014)는 특정한 한 공간을 붉은색 페인트로 칠하고 철거 후 그 흔적을 추적하는 적극적인 개입으로 발전한다. 이 지점에서 정지현의 사진은 재현적 도구로서의 성격에 연극성이 더해진 매체로 변화한다. 페인트칠을 통한 공간 설정은 Reconstruction Site(2015)에서 연속된 공간으로 확대되어 새로운 형태의 건물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변형된 건물은 그 주변 환경과 함께 구성되어 또 다른 가변적 풍경을 완성시킨다.

정지현의 작업은 공통된 대상의 이면에 대한 개입이라는 또 다른 공통된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 요소는 작업의 단계적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한편 사진에 대한 매체적 입장을 변화시키는 이중적인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부분은 도시 재개발 현장을 다룬 여느 작업들과는 다른 독창성을 가지는 부분이기도 하다. 정지현은 세상을 사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사회적 현상 안에 스스로가 개입함으로써 새로운 시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사진의 재현과 비재현 영역을 함께 아우르며, 동시대 사진의 매체적 접근 방식에 있어 또 다른 형태와 한국 사진의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 낸다.
BMW Photo Space features Jihyun Jung’s as the fifth Chung Photo Project from December 18, 2015 to February 3, 2016. Jung constantly has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demolishing and creating the dwelling, which is the closest place to a human, through the contemporary symbol of living, an apartment. Jung’s work focuses on the reconstruction site of apartment, and categorizes into the different series according the attitude towards the object of his work. At this point, the attitude as the attempt to merge to the object becomes the essence of his work. With these kinds of characteristics, this exhibition consists of Apartment(2005-6), Construction Site(2012), Demolition Site(2014), and the new series Reconstruction Site(2015).

Jihyun Jung defines the reconstruction site of apartment as the blank period of time that gets created in betwee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new city. The time that the people cannot see is the spatiotemporal space of the compressed city’s cycle structure that is being constructed and destroyed by the purpose. At the same time, it is the loss of living area where the personal experience or the history of existence and memory are reflected. Within this space, Jung intervenes into the object applying his own method and records the trace of it. Intervention and documentation is the action of filling the ruptured time and of giving the life and the purpose into the empty space. Each series shows the difference in phases according to the initiative of intervening method, and focuses on the alteration of intervening stance towards the object through the four series.

Apartment(2005-6) that recorded the 1st generation apartment that has demolition ahead demonstrates the shooting object as it is, but through the photographic action, it is the first work that attempted to intervene into the object. This attempt links to the physical intervention of shooting the objects in the construction site at Construction Site(2012), which recorded the construction site of an apartment. After, Demolition Site(2014) develops to the active intervention that keeps tracking the trace of demolition that painted a particular area with a red paint. At this point, Jihyun Jung’s photography alters to the media that has added theatricality to the characteristic as the representative tool. The space setting through the painting becomes extended in Reconstruction Site(2015) as the repetitive space; therefore, it creates the new type of building. And then, that transformed building gets composed with its surroundings which complete another type of landscape.

The work of Jihyun Jung has another common component that is the intervention about the hidden side of the same object. This component creates the phased narrative of the work; yet, it has the equivocal function that could change the medium’s stance towards the photography. This is the part where Jung’s work reveals to be different compared to other artists’ works that dealt with the redevelopment site of the city. Jung does not end up on concerning about the world, but he intervenes into the social phenomenon; hence, he creates a new aspect. This type of his work encompasses the area of representation and non-representation, and his approaching method creates another type and the new possibility of Korea photography.
정지현 Jihyun Jung

1983 서울출생

2012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진학과 수료
2010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2005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졸업

개인전
2014 《Oppo-Site》, 토탈미술관 프로젝트 스페이스 더룸, 서울
0000 《Demolition Site》, KT&G 상상마당, 서울
2013 《Construction Site》, 송은아트큐브, 서울

단체전
2015 《경험의 공기》, 국립현대미술관 고양 레지던시 전시실, 고양
0000 《폐허에서》, 주 상하이 한국문화원, 상하이, 중국
0000 《시스템 플래닝 : 다방다방 프로젝트》, KT&G 상상마당, 서울
0000 《Summer Love》,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0000 《인트로 :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입주작가 소개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0000 《Scotiabank CONTACT Photography Festival》, 토론토, 캐나다
0000 《공간, 사람 그리고 가족 : 춘천 아카이브 프로젝트》, KT&G 상상마당, 춘천
2014 《제36회 중앙미술대전 선정작가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0000 《사진 미래色 2014 - 제6회 KT&G SKOPF 선정작가전》,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0000 《Site & Place》(2인전), 두산 갤러리, 뉴욕, 미국
0000 《New Generation》, Gallery Image, 오르후스, 덴마크
0000 《New Generation》,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2013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광동, 중국
0000 《The Show Must Go On in Singapore : 토탈미술관》, Praxis Space, ICAS, 싱가폴
0000 《레지던시 나우》, 송원아트센터, 서울
2012 《In Transit》, European Month of Photography Berlin, 베를린, 독일
0000 《Speciaal project fotografisch talent uit Korea - Breda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브레다, 네덜란드
0000 《공장미술제》, Sunset Janghang Festival, 장항, 중국
2010 《Hidden sense 국제 젊은 사진가전 - 대구사진비엔날레》, 대구
0000 《Emerging Artists》, 두산 갤러리, 서울
0000 그 외 다수

수상 및 선정
2015 도쿄 원더사이트 레지던시 입주작가 선정, 도쿄, 일본
0000 국립현대미술관 고양 레지던시 입주작가 선정, 고양
2014 대구사진비엔날레 ENCOUNTER’14 선정, 대구사진비엔날레, 대구
0000 제 36회 중앙미술대전 작가선정, 중앙일보, 서울
0000 인천아트플랫폼 5기 레지던시 프로그램 입주작가 선정, 인천
2013 제 6회 KT&G 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 프로그램 올해의 최종 작가, KT&G 상상마당, 서울
0000 인천아트플랫폼 4기 레지던시 프로그램 입주작가 선정, 인천
0000 아르코 작가워크숍 선정, 아르코미술관, 서울
2012 Asian Students and Young Artists Festival PRIZE 수상, 조선일보, 서울
0000 제14회 사진비평상 수상, 포토스페이스, 서울


TAG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