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2018 04

정봉채 Bong-chae Jeong

by PhotoView posted Mar 29, 2018
Extra Form
전시제목 우포 지독한 끌림
전시기간 2018. 3. 28 ~ 4. 13
전시장소 사진‧미술 대안공간 SPACE22, Seoul
오프닝 2018년 3월 28일(수) 6:00pm~
갤러리 주소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390 미진프라자빌딩 22층 T.02 3469 0822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space22.co.kr
관람시간 월~토 11:00~19:00 |일요일, 국경일 휴관
후원 미진프라자
‘피사체를 오래 바라보면 분석적 이해가 필요 없는 생명 자체의 본질이 보이기 시작한다. 더불어 이 광활한 우주속의 나의 정체성이 한없이 먼지처럼 낮아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절대적인 우주의 신성과 내 존재의 미미함의 만남, 그 위대함에 스스로 고개가 꺾어지는 순간, 그 순간이 바로 나의 셔터 찬스다.’ 무려 17년 동안 오직 우포만 바라보며 우포의 풍경을 카메라의 담아 온 정봉채 작가는 자신의 사진 작업을 그렇게 압축한다. 우포늪은 1억 400만년이라는 긴 시간을 퇴적한 채 여전히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내는 신비스러운 생태계의 보고이다. 작가는 그곳에 작업실을 겸한 집을 짓고 그곳의 주민들과 생태계의 일원이 되어 일상을 살아가고 있다. 예술과 삶이 결합되어 있어야 피사체의 본질이 제대로 보인다고 믿는 그의 우직한 성격 탓일까? 새벽 동이 트기 전부터 삼각대를 세우고 늪을 바라보고 서 있는 작가. 기다림이 자신의 일상이라며 빙그레 미소를 짓던 작가의 겸손한 미소. ‘해가 뜨고 해가 지는 시간까지 기다립니다. 찍는 시간보다 기다리는 시간이 훨씬 길어요.’ 그렇다면 작가는 무엇을 기다리는 것일까?
  • ⓒ정봉채 Bong-chae Jeong
  • ⓒ정봉채 Bong-chae Jeong
  • ⓒ정봉채 Bong-chae Jeong
  • ⓒ정봉채 Bong-chae Jeong
  • ⓒ정봉채 Bong-chae Jeong
  • ⓒ정봉채 Bong-chae Jeong

사유와 겸양을 담은 사진.


‘피사체를 오래 바라보면 분석적 이해가 필요 없는 생명 자체의 본질이 보이기 시작한다. 더불어 이 광활한 우주속의 나의 정체성이 한없이 먼지처럼 낮아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절대적인 우주의 신성과 내 존재의 미미함의 만남, 그 위대함에 스스로 고개가 꺾어지는 순간, 그 순간이 바로 나의 셔터 찬스다.’
무려 17년 동안 오직 우포만 바라보며 우포의 풍경을 카메라의 담아 온 정봉채 작가는 자신의 사진 작업을 그렇게 압축한다.
우포늪은 1억 400만년이라는 긴 시간을 퇴적한 채 여전히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내는 신비스러운 생태계의 보고이다. 작가는 그곳에 작업실을 겸한 집을 짓고 그곳의 주민들과 생태계의 일원이 되어 일상을 살아가고 있다. 예술과 삶이 결합되어 있어야 피사체의 본질이 제대로 보인다고 믿는 그의 우직한 성격 탓일까?
새벽 동이 트기 전부터 삼각대를 세우고 늪을 바라보고 서 있는 작가. 기다림이 자신의 일상이라며 빙그레 미소를 짓던 작가의 겸손한 미소.
‘해가 뜨고 해가 지는 시간까지 기다립니다. 찍는 시간보다 기다리는 시간이 훨씬 길어요.’ 그렇다면 작가는 무엇을 기다리는 것일까?
‘교감의 순간을 기다리는 겁니다. 사람의 관계도 마찬가지겠지만 자연과 나와의 관계도 교감이 중요합니다. 그저 아름답다고 인상적인 풍경이라고 렌즈에 담는 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지요. 작가는 대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제 본 나무 한그루의 모습이 오늘 보면 또 다른 모습입니다. 자연도 사람과 똑같은 희노애락과 역사를 가지고 태어나고 살아가고 죽어가는 것입니다. 기다리는 시간동안 그것들을 보려고 무진 애를 쓰며 보고 또 보는 것이지요. 반복적인 관심으로 한 대상을 반복적으로 바라보면 작가의 내면에 사유라는 형질이 굳어지기 시작합니다. 사유는 보이지 않는 존재를 느끼는 것이지요. 내 사진은 그 보이지 않는 존재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입니다. 나의 내면과 대상의 내면이 만들어 낸 또 하나의 형질, 생명과 생명이 만나 빚어내는 sympathy의 결정체, 그것을 기다리며 오늘도 이 우포 앞에 삼각대를 세우고 하염없이 바라보고 있는 거지요.’
작가의 사진 전시회를 다녀 온 사람들은 말한다. ‘여타 다른 풍경사진에서 느껴지지 않는 생경한 아우라가 느껴졌습니다.’ ‘풍경에서 아득한 기억 속의 소리가 들리는 듯해요.’ ‘한 편의 그림이 스민 시를 읽은 듯해요.’ 본 듯해요.’ ‘이상하게 마음이 차분해져요.’
작가는 자신이 만들어 낸 사유의 세계를 해석하는 몫은 관람객들의 독자적인 세계라고 말했다. 다만 덧붙이길 ‘내 사진을 통해서 치열한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몸과 마음이 조금이라도 정화되고 치유되었으면 더 바랄 게 없다.’

작가는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했다. 사진작가로 살기 위해 안정된 교직을 접었다. 우포로 들어간 2000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작가는 사진 이외의 어떤 경제적인 활동을 한 적이 없다고 한다. ‘할 줄 아는 게 사진뿐인 바보지요.’ 이 시대의 바보, 정봉채 작가의 작품은 아이러니하게도 국내외 여러 전시에 초대되어 미술애호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그의 우직한 장인정신이 빚어 낸 감동의 결과물을 세계가 인정한 것이다. 그는 2008년 제 10차 람사르 총회 공식 사진가로 초대 되었으며 2011년 샌프란시스코 AAU 예술대학 교수로 초빙되기도 했다. 지난 2013년 아트 파리, 비엔나 페어, 그리고 특히 2016년 세계 최고의 아트 페어라고 하는 스위스 바젤 솔로 프로젝트에 국내 유일하게 사진가로서 까다로운 심사를 통과하고 초대전시 되었다.

작가의 작품은 한 곳에 머무르며 오래 바라보기를 통해 이뤄 낸 자연과 인간의 연민과 사랑의 화합물이다. 해석과 비평, 감동은 독자의 몫에 맡긴다. 끝으로 자연과 사진을 대하는 그의 겸손한 자세에 무한한 감사와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

내 안의 풍경


풍경이 내 안으로 걸어 들어와 말을 거는 날이 있다.
그런 날은 내 안의 감정과 풍경의 감정이 교감을 이루는 날이다.
풍경이 말하고 나는 그의 말을 듣고 내가 말하고 풍경이 나를 들으니
이보다 행복한 날이 사진가에겐 있을까, 의문이다.
혹자는 말한다.
예술은 작가의 삶의 총체라고.
그렇다면 나는 늪에 사니, 늪이 내 삶의 총체이며 내 삶의 총체가 사진이니 늪의 풍경을 담은 내 사진은 늪이며, 나이기도 하다.

이제 늪으로 온 지 16년이 지났다.
안정된 직장을 버리고 화려한 도시의 삶을 뒤로 하고 늪에서 살아 온 시간. 강산도 두 번 변할, 적지 않은 그 시간이 내게 가르쳐 준 게 있다면 자연도 사람이고 사람도 자연이라는 지극히 단순한 교훈이었다는 것이다.
매일 아침 동이 트기 전 나는 늪으로 나가 늪의 풍경들을 바라본다.
내 감정이 슬픈 날에는 풍경 또한 슬프고
내 감정이 기쁜 날에는 풍경 또한 기쁘다.
폭풍우에 가지가 꺾인 나무를 보는 날이면 생의 끝을 생각하며 우울해진다.
덫에 걸린 새를 보노라면 내 생애를 긁고 간 상처의 뿌리가 마침내 무딘 세포를 열고 나와 아우성을 지른다.
이미 내 안의 세포들은 이곳의 풍경들의 표정과 생애에 결부되어 있다.
그러므로 내 렌즈 안에 담기는 늪의 풍경은 그저 인공적으로 가공되어 어느 화려한 도시의 전시장 한 켠을 장식하는 피조물이 아니다.
풍경들은 내 사진을 도구로 삼아 자신의 표정을 세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들은 곧 나이며 그들이므로 내가 살아 있는 한, 그들에게 감정을 느끼는 한, 그들도 나를 향해 자신의 희노애락을 표출하는 살아있는 유기체가 되는 셈인 것이다. 그들로 인해 내 사유는 풍부해지며 그들로 인해 나 또한 세상의 칼날에 상처받는 허약한 존재임을 깨닫는 순간을 누리는 상호보완의 순간을 서로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순간은 그들도 나도 자연의 질서 앞에, 이 광활한 우주의 섭리 앞에 고개를 숙이는 겸손의 순간이다.

늪의 풍경은 사시사철 표정을 바꾸며 그들의 언어와 감정을 내게 전한다.
내게 늪의 모든 생명체들은 이름이 있고 그 이름에 걸맞는 표정들이 있다.
나는 태양아래서도 그들의 이름을 부르고 어둠 속에서도 그들의 표정을 읽으려고 애쓴다.
이름을 부르는 건 사랑하기 때문이다.
사랑하면 상대의 이름을 부르고 그 이름이 내 부름에 화답하기까지 기다리게 된다는 단순한 연애학의 논리에 이제 내 카메라는 순응하게 되었다.
기다리고 또 기다리고, 16년을 기다렸더니, 어느 날 내가 목 놓아 부르며 기다렸던 이름들이 나를 향해 자신의 내면의 빛깔들을 보여주려고 서서히 다가오고 있었다. 감동의 순간, 전율의 순간에 나는 너를 향해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고 있었다. 드디어 보이기 시작하는 너, 내 안의 풍경. 너 안의 나를 렌즈에 담는 시간. 그 시간동안 나는 행복했다. 황폐한 도시에서 겪었던 상처와 불화들이 조금씩 회복되어 갔다.

나를 잘 모르는 사람들 중에는 나를 우포에 숨어사는 은둔 작가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고 들었다. 그러거나 말거나 나는 상관하지 않는다. 누구나 자신의 취향에 따라 스스로의 주거지를 정하는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는 것이다. 단지 나는 우포가 좋을 뿐이다. 이곳의 바람과 공기, 토양과 자연물들이 아니었다면 나는 어디에도 정착하지 못하고, 영원한 디아스포라가 되어 정처 없이 떠도는 이방인이 되었을 것이다.

세상에 이곳보다 아름다운 곳이 많을 테지만,
나는 오늘도 늪가에 서서 늪의 풍경이 내 안으로 걸어 들어와 내 안에 그들만의 형상의 꽃을 피우는 시간을 삼각대를 세우고 기다린다.
그 형상의 꽃이 사멸하지 않는 한, 나는 이곳을 떠나지 않을 것이며 이곳의 자연물들과 일체가 되어 살아가는 삶을 선택할 것이다. 때로 체계와 멀리 떨어져 이 우주 속에 한 점 밀알 같은 내 존재를 바라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삶이라는 것을, 나는 지금도 이곳 우포의 풍경들을 통해 여전히 배우고 있는 중이다. 그러므로 내 사진은 여전히 미완이고 정진 해야 할 내 숙명의 숙제이다.

사진가 정봉채 Bong-chae Jeong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대학원에서 사진을 공부한 뒤 순수사진가로 활동. 자연과 정화에 대한 관심으로 우포늪을 찍는 사진가로, MBC 환경켐페인 공익광고 와 로드리포터, VLUU등 각종 사진전문 잡지에 자연풍경 등을 기고하고 있다. 그는 2008년 제10차 세계람사르총회 공식사진가로 초대 되었으며, 람사르우포 홍보대사이기도 하다. 사진집으로는 평화의 마을 .삼성출판사 (1993), 우포늪. 눈빛출판사 (2008) 밤이 가고 낮이 가는 사이에. 성바오로출판사 (2009) 우포의 편지 .몽트(2015)등이 있으며 1995부터 현재까지 동아대학교 등에서 순수예술 사진등을 강의하고 있다. 그리고 2011년에는 미국 유명한 예술대학교인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AAU – Academy of Art University에서 초빙교수로 초대되기도 했다.

개인전
2018. 3. 우포 지독한 끌림. SPACE22 외 24회

주요 단체전
2015. 국제 포토그라피 展 "Light, Nature & Human" 초대. 후쿠오까 아시아미술관. 일본
2012. 동강국제사진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외 300여회

아트페어
2016 솔로프로젝트. 아트바젤ᆞ스위스 외 35회

사진집
2017 우포 지독한 끌림, 포토닷
2015 우포의 편지, 뭉트
2009 밤이 가고 낮이 가는 사이에. 성바오로출판사
2008 우포늪. 눈빛출판사

작품소장
2016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2011 고은사진미술관
2009 새누리당 중앙당
2008 대한민국 환경부
2008 창원컨벤션센터(CECO)
2008 람사르환경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