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룩스는 김규식과 현홍의 2인전 « Kim & Hong Second Show»을 2018년 3월 2일부터 3월 25일까지 개최한다.
킴앤홍 (Kim and Hong)은 작가 김규식과 현홍의 '전시 브랜드'이다. 이 프로젝트는 매년 한 차례,
각자의 젤라틴 실버 프린트를 공동으로 전시하는 것으로, 이번이 그 두번째 전시이다.
김규식은 사진의 재현 방식에 대한 프린트를, 현홍은 사진의 시간성에 대한 프린트를 전시한다.
소재와 주제로 묶이는 공동 전시는 흔하다. 그러나, 일정한 형식적 제한을 전제하고, 그 테두리 내에서 작가적 기량과 상상력을 실험하고자 하는 전시는 흔하지 않다. 형식은 태도의 문제이고, 내용의 이면이다.
10년에 걸쳐, 10회를 할 계획이다. 사진의 작은 역사가 될 것이고, 꽤 두꺼운 책이 만들어질 것이다.
꿈은 현재를 강제한다.
갤러리 룩스는 김규식과 현홍의 2인전 « Kim & Hong Second Show»을 2018년 3월 2일부터 3월 25일까지 개최한다.
킴앤홍 (Kim and Hong)은 작가 김규식과 현홍의 '전시 브랜드'이다. 이 프로젝트는 매년 한 차례,
각자의 젤라틴 실버 프린트를 공동으로 전시하는 것으로, 이번이 그 두번째 전시이다.
김규식은 사진의 재현 방식에 대한 프린트를, 현홍은 사진의 시간성에 대한 프린트를 전시한다.
소재와 주제로 묶이는 공동 전시는 흔하다. 그러나, 일정한 형식적 제한을 전제하고, 그 테두리 내에서 작가적 기량과 상상력을 실험하고자 하는 전시는 흔하지 않다. 형식은 태도의 문제이고, 내용의 이면이다.
10년에 걸쳐, 10회를 할 계획이다. 사진의 작은 역사가 될 것이고, 꽤 두꺼운 책이 만들어질 것이다.
꿈은 현재를 강제한다.
킴앤홍 (Kim and Hong)은 작가 김규식과 현홍의 '전시 브랜드'이다. 이 프로젝트는 매년 한 차례,
각자의 젤라틴 실버 프린트를 공동으로 전시하는 것으로, 이번이 그 두번째 전시이다.
김규식은 사진의 재현 방식에 대한 프린트를, 현홍은 사진의 시간성에 대한 프린트를 전시한다.
소재와 주제로 묶이는 공동 전시는 흔하다. 그러나, 일정한 형식적 제한을 전제하고, 그 테두리 내에서 작가적 기량과 상상력을 실험하고자 하는 전시는 흔하지 않다. 형식은 태도의 문제이고, 내용의 이면이다.
10년에 걸쳐, 10회를 할 계획이다. 사진의 작은 역사가 될 것이고, 꽤 두꺼운 책이 만들어질 것이다.
꿈은 현재를 강제한다.
원근법실험 Test of Perspective
김규식
사진을 찍는 행위는 입체적시각정보와 평면적 재현의 상상을 머릿속에서 서로 교환하는 것이다.
이 얇은 종이위에 인화된 사진들은 마치 입체적 사물과 공간을 쪼개어 여러겹의 레이어로 배접한 하나의 평면과 같다. 사진의 오브제는 렌즈의 최소조리개에 의해 건조한 평면을 형성하며 선원근법에 기초해 드러난다. 사진은 무엇보다 원근법에 충실하며 사실적인 매체다. 그러나 아날로그 사진은 생각과 달리 대상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다. 디지탈이 조작의 가능성이 쉽다는 것을 제외하면 정보전달의 과정은 단순하다. 하지만 아날로그는 인간의 주관적 판단과 개입없이 재현되는 일은 거의 없다. 화각과 앵글은 뷰파인더유리의 격자판에 사물의 길이를 맘대로 조절하며 사물을 변화시킨다.
실험시리즈의 두번째 작업인 ‘원근법실험’은 원근법이 단지 머리를 고정한채로 한쪽눈을 감고 바라본 것 이외에 설명하지 않았던 것을 보여주려 한다. 나는 이 작업에서 평면적 상상을 통해 가상의 선과 도형을 현실에 재현하려 했다. 나는 그러기 위해 사진의 전제를 대상은 어떻게 재현되는가에서 재현된것은 어떻게 실재하는가로 바꿨다. 원근법은 실재를 더 사실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방법이다. 원근법실험은 그런 원리를 이용한다. 그러나 믿었던 원근법의 재현방식은 우리를 배반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듯 원근법적 추리와 상상을 동원해도 사진속 형태로 실제의 형태를 유추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원근법실험은 상상을 실재로 옮기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그 중 하나인 ‘등변삼각형II’에서 각면이 접한 각도는 60도가 아니라 사진에 기록한대로 39·65·76도를 지닌 부등변 삼각형이다. 사진속 실물의 각도를 숫자만으로 상상하기는 어렵다. 또 사각형 작업에 정사각형 패널위의 못과 실등은 카메라의 앵글에 따라 뉘어져 있다. 그러나 사각의 틀은 소실점이 보이지 않는다. 카메라를 뉘어서 보면 사다리꼴로 수렴되어야 하지만 사진속 사각은 정사각을 띄고 있다. 또한 배경을 이루고 있는 지면은 끝이 보이지 않으며 수직과 수평을 교란시킨다.
실을 이용한 작업은 소실점과 만나는 선을 보여준다. 가상의 선을 따라가는 실은 사진에 형태를 만들고 그 형태는 면을 이루고 있다. 면은 입체를 상상하게 하지만 사진속 면은 현실에서 2차원적 평면을 이루는 것이 아니며 여백에 불과하다.
포토그라픽 룩 2 - 어떠한 싸인.
현홍
포토그라픽 룩 시리즈 두 번째 작업이다. 2016년 첫 번째 작업에 이어, 작년 2017년 한해 동안의 결과물이다. 포토그라픽 룩 시리즈는 사진적으로 보기 또는 그 보기에 따른 결과물에 관한 작업으로, 결국 사진만이 할 수 있는 것들로 채워져 갈 것이다. 첫 번째 작업에서는 사각 프레임 안에서의 시각적 구성과 편집을 다루었다. 이번엔 시간에 관한 것이다.
1.사진과 시간에 관한.
사진이 시간을 쪼갠다는 사실은 이제는 소박한 것이다. 누구나 그렇게 알고, 그렇게 사진을 가진다. 신문, 잡지, 인터넷,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수많은 사진들은 이제 공기나 물처럼 당연하다. 사진과 그것의 시간성에 대해 잊고 산지 오래되었다.
시간에 관한 한 사진처럼 독특한 예술이 없다. 대부분의 예술작품은 시간을 점유하거나 시간에 점유된다. 그것을 분할한다는 것은 사진이 가지는 고유한 특별함이다. 125분의 1초안에는 음악도 없고 그림도 없고 영화도 없고 조각도 없고 문학도 없다.
사진은 순간을 담아내지만 동시에 영원을 지향한다. 시각을 담아낸 사진은 역설적이게도 시간에 저항하고 견뎌내면서 보존된다. 매우 즐거운 사실이지만, 시각과 영원은 우리가 결코 체험하지 못할 영역의 시간성이다. 그 두 가지를 모두 가진다는 것으로 사진은 더욱 특별해진다. 시간적으로만 말하자면 사진의 소명은 영원이다. 시간이 없으면 시각도 없다.
당연, 포토그라픽 룩에서 그 쪼개진 시간-시각-을 지나칠 수는 없다. 이번 작업은 그 시간성을 다시 기념하기 위해 생경하게 생각하고, 생경하게 다뤄봤다. 사진은 공간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양상을 다 집어 삼킨다. 양적으로 충만한 정적인 것에서부터 섬세한 것들의 작은 떨림, 그 주변을 빈틈없이 채우는 빛과 그림자 모두를... 사물과 그 배경으로의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이고 유기적인 연기관계가 그대로 담겨진다. 그래서 사진은 기본적으로 ‘그것들의 그 시각에서의 증거와 흔적’으로 남는다.
2.필름과 프린트에 관한.
a.형식은 내용의 요구에 의해 변화한다. 그리고 내용은 형식의 요구에 의해 변화한다. 자크 데리다의 말을 빌리면 에르곤-내용-과 파레르곤-형식-은 서로가 서로를 간섭하고 규정하는 사이다. 이분화된 개념이 사실은 얽혀있다고 볼 수 있는 것들은 많다. 고전과 낭만, 질료와 형상, 특수와 일반, 본질과 현상 등등, 모두 에르곤과 파레르곤의 관계과 닮아있다.
형식만을 얘기하자면, 그것은 내용을 가두는 틀이면서 동시에 내용을 다듬어주는 정교한 기계가 된다. 그래서 작업에 대해 작가가 취하게 되는 형식 요소들은 결과적으로 내용과 어떠한 관계성을 가질 것이다. 결국 형식은 작가 태도의 문제로 귀결된다. 사진을 예로 들자면, 같은 대상을 놓고 아날로그적 프로세싱을 하는가 디지탈적 프로세싱을 하는가에 따라 작가의 태도가 변화할 것이고, 각각의 내용들과 다른 관계성을 만들어 낼 것이다.
b.사랑하는 대상은 다가가게 되고 만지고 쓰다듬게 되고 부비게 되고 안아보게 된다. 관심과 애정의 당연한 표현이다. 사랑은 그렇게 아날로그적으로 완성된다. 사진도 똑같다.
필름과 현상과 젤라틴 실버 프린트, 즉 아날로그 프로세스는 기계력과의 협업이다. 기계력과 인간의 창의력의 협업이다. 기계력과 인간력 사이의 부단한 변주이다. 계속해서 기계와의 물리적이고 정서적인 마찰이 필요하고 서로에 대한 익숙함이 필요하다.
기계와의 사랑은 오감을 구석 구석 찌르고, 전에 없던 새 감각으로 전이된다. 다시 복잡하게 얽히고 풀어지기를 반복하며 더욱더 완성되어간다. 그래, 그냥 그 감정들을 뭉뚱거려 쾌락이라고 하자. 가장 적당한 말인 듯 하다. 지금 이 시대의 사진에 있어 아날로그적 작업이란 감각적 쾌락을 위한 것이며, 기계 성애자들의 즐거운 놀이이다.
양적으로 질적으로 디지털 프로세싱과 감각의 양태가 다르다 - 가치판단은 하지 않았다. 어딘가에도 이미 써놓았지만, 나는 그래서 쾌락주의자이다. 그래서 모더니스트다. 작품 생산에 관한한 -
내 바깥의 것과 나와 다른 타자의 것과 차이와 반복의 것으로 기생하며, 우연과 비자발성에 기대는 현대 미학을 빌리기엔 난 너무 이기적인 작가이다.
3.짧게, 비극에 관한.
사진은 우리를 보지 않는다. 우리를 향해 말하지도 못하고, 듣지도 못한다. 그 안엔 시간도 없으며 서사도 없다. 심지어 어떤 이는 아무것도 없다고 한다.
사진처럼 답답하고 멍청한 예술이 또 있을까?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한다고 해서 사람들은 사진을 향해 함부로 얘기한다. 어떤 이는 실재라고 하고 어떤 이는 가상이라 하고 어떤 이는.... 어떤 이는.... 어떤 이는.... 언어만 어지럽다. 어쩌면 이것은 사진이 가지는 고유한 비극이다.
인간이 만든 것들이 다시 인간을 향해 말하는 순간, 더 나아가 자율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순간, 결국 인간이 자기 복제를 완성하는 순간 예술은 끝나는 것이 아닐까. 마치 자신을 닮은 인간을 창조한 신이 더 이상의 창조를 그만 두었듯이.
그때엔 예술의 그 숙명적 비극도 끝날 것이다. 안토니오 그람시였다. 옛 것이 죽고 새것이 아직 태어나지 못한 빈자리에 괴물들이 나타난다.
김규식 Gyoosik Kim
2008 홍익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 수료
개인전
2016 개에 물린 남자, 아트갤러리21,서울
2015 no plan B, 갤러리 B.cut, 서울
2015 어맨, 갤러리 누다, 대전
2014 어맨, 사진공간배다리, 인천
2010 판타스틱 플라스틱, 갤러리누다, 대전
2009 플라-워즈, 트렁크갤러리, 서울
2006 Mediators: The look of shamans, Palagio di Parte Guelfa, 플로렌스, 이탈리아
2004 The apartment, 그린 포토갤러리, 서울
주요 단체전
2017 오큐펀츠17-건물사용설명서, 청담동20-30, 서울
2016 SP x KOROGRAM – 전시를 위한 전시, 코로그램, 서울
2016 킴앤홍 1st Show, 아트스페이스J, 성남
2016 서울사진축제서울新아리랑-천리의 강물처럼,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
2016 굿모닝경기사진축제, 굿모닝하우스, 수원
2016 2016포토빌 #48 센세이션 포토그라피, 덤보, 뉴욕, 미국
2016 [2인전]더블도트, 갤러리밈, 서울
2016 영업종료, 더텍사스프로젝트, 서울
2016 [2인전]입자설, 소소미술관, 화순
2016 오데사 바투미 사진축제,오데사
2016 오산 영 크리에이티브-108개 의자, 문화공장오산, 오산
2015 차가운 진실:보이는 것들의 이면, 조선대학교 백학미술관, 광주
2015 시발전, 아워몬스터,서울
2015 전남레지던시 아트페어, 담빛예술창고, 담양
2015 시선의 촉발 사진의 급습, 경남과학기술대미술관, 진주
2015 b면, 더텍사스프로젝트, 서울
2014 신세계로의 불시착, 갤러리 누벵, 상파울로
2014 19개의 방, 더텍사스프로젝트, 서울
2013 더텍사스프로젝트#1, 더텍사스프로젝트, 서울
2013 서울풍경, 북서울미술관, 서울
2013 신뢰에 관한 한 연구, 아트스페이스 휴, 파주
2012 피브이시 리얼리티(PVC Reality), 아트스페이스 휴, 파주
2012 한국현대미술-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큐브미술관, 성남
2012 물밑대화, 쿤스트독갤러리, 서울
2012 CAYAF 2012(형형색색, 오늘을 읽다), 킨텍스, 일산
2012 창동그라피, 국립현대미술관 창동창작스튜디오, 서울
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1 생활의 목적,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2011 10인의 물질적 공간, 서울아트센터, 서울
2010 격물치지, 일민미술관, 서울
2010 나의살던동네, 부평아트센터, 인천
2010 오! 명화,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9 예술, 출판도시와 마주치다, 지지향갤러리, 파주출판도시
2009 황홀한 도시의 난맥, 물파스페이스, 서울
2008 39조2항, 아트선재센터, 서울
2008 Young Photo_뒤집기,비꼬기,흔들기, 신세계 Art Wall Gallery , 서울
2008 흑백을 묻다, 신한갤러리, 서울
2008 Analysis & Senses, 지지향갤러리, 파주출판도시
2007 Post-Photo, 토포하우스, 서울
2007 코미컬&시니컬(한일교류전), Dawn Center, 오사카,
2006 서울국제사진페스티발 영포트폴리오, 갤러리 룩스, 서울
작품소장
서울시립미술관, 일민미술관, 경기도 미술관
레지던시
2015 스페이스1839
2011 휴+네트워크 창작스튜디오
2009 파주아트플랫폼
현홍 Hyun Hong
2012 글라스고우 스쿨 오브 아트. 파인아트 프랙티스 석사과정 졸업 (Master of Letters)
200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사진디자인 석사 과정 졸업 (Master of Fine arts)
개인전
2016 키쓰하기 좋은 곳, 키미아트, 서울
2015 모던타임즈 4 – 징글 징글, 키미아트, 서울
2014 모던타임즈 3 – 우울한 리듬, 갤러리 도스, 서울
2009 사디즘, 갤러리 룩스, 서울
2008 모던타임즈2, 사진아트센터 보다, 서울
2007 모던타임즈, 갤러리 선 컨템포러리, 서울
단체전
2017 아티스트 스테이트 먼트 #2, 시카 미술관, 김포
2017 갤러리 소장전, 키미 아트, 서울
2016 딥 인 칼라스 앤 라이트, 앤드 앤 갤러리, 서울
2016 킴앤홍 퍼스트쇼, 아트스페이스 제이, 경기
2016 해방된 기억, 경기포토페스티발, 경기
2016 아시안 익스프레스, 대구사진비엔날레관, 대구
2016 더블 도트, 갤러리 밈, 서울
2016 건축에 대한 사진의 몇가지 입장, 더텍사스프로젝트, 서울
2016 아트 옐로 북 프로젝트, 시카 미술관
2015 컬러풀, 경기도 미술관, 안산
2015 프로젝트 숨쉬는 집 2 - Thinking, 키미아트, 서울
2015 B면, 더 텍사스 프로젝트, 서울
2014 we all in truth, 알란잔드로 개러리, 바르셀로나
2014 19개의 방, 더 텍사스 프로젝트, 서울
2014 에포케, 키미아트, 서울
2013 조각을 밝히다, 킵스갤러리, 서울
2013 추상은 살아있다, 경기도 미술관, 안산
2012 마스터 오브 레터스, 버몬지 프로젝트 스페이스, 런던, 영국
2012 디그리 쇼, 라이트 하우스, 글라스고우, 영국
2012 마스터 오브 레터스, 맥켄토시 빌딩, 글라스고우, 영국
2012 스트레이트, 멕켄토시 빌딩, 글라스고우, 영국
2012 매스 스모크 미디어 밤스, 제이 디 켈리 빌딩, 글라스고우, 영국
2010 Oh! Masterpieces, 경기도 미술관, 안산
2010 세븐 센스, 갤러리 룩스, 서울
2010 상설 전시, 닥터박 갤러리, 양평
2009 스틸 앤드 스트림, 갤러리 프라이어스, 서울
2009 그늘의 테두리, 쿤스트독 갤러리, 서울
2009 사진의 순환, 서울아트갤러리, 서울
2008 흑백에 묻다, 굿모닝신한증권, 서울
2008 흑백에 묻다, 신한갤러리, 서울
2005 포스트포토전,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2003 포스트포토전,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선정
2008 영 아티스트 (사진아트센터 보다)
소장
브리티시 에어 웨이, 경기도 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