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2014.10.19 09:32

EJ LEE 이은종 <THE PARK>

조회 수 346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 ⓒEJ LEE 이은종
    THE PARK #01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02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03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04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05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06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07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08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09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10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11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12 120 cm x 8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13 165 cm x 11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 ⓒEJ LEE 이은종
    THE PARK #14 165 cm x 110 cm 2012 Pigment print on fineart paper
The Park
The Park is a series of black and white infrared ray photographs anchored to the Buddhist philosophical concept, “Form is emptiness and the very emptiness is form.” (色即是空,空即是色) Light in infinity is formless, that is, emptiness. Form is in this emptiness. The nature of form is thus emptiness.

Photography is a copy of reality reflected through light. The landscape of my work is a representation of reality, but is an unrealistic representation. My work is perceived as ‘unreality’ because is not recognized through the visible rays deep rooted in our fixed notions. Although we do not perceive this with our eyes, this is a representation of a reflection of the light that comes down from the sun to the realistic world.

Infrared light extending from the nominal red edge of the visible spectrum and ultraviolet light extending from the nominal violet edge of the visible spectrum are invisible to the human eye but ever present.

The landscapes of my works are both the ‘discriminative’ scenes of landscaped parks and the ‘indiscriminate’ scenes cultured by nature itself. My work displays similar scenes of parks with the strength of the rays invisible to human eyes. Everyday realistic scenes look unfamiliar as other worldly landscapes, but we cannot realize that the landscapes are another reality hidden under the realistic scenes.

Philosophically, seeing refers to recognizing. Our capability of seeing, feeling sensuously, and expressing is God’s blessing. However, our senses tend to believe that the invisible is nonexistent due to our obsession over visible things. We depend only on the visible without realizing the true nature of things. After all, we come to believe that only a visible phenomenon is the truth.

If we can see objects with the eye to grasp the world’s diversity, not simply relying on our impulsive temporary senses, and with the eye of the mind as Little Prince does, we can embrace objects as the things of coexistence, not possession, and not as landscapes where realistic light collides with unrealistic light.

EJ LEE
THE PARK / 공원
흑백 적외선(Infrared Ray, 赤外線) 사진 작품인‘공원’은 불교 철학 개념인‘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으로부터 출발합니다.

무한함을 지니고 있는 빛은 무색(無色) 즉, 공(空)입니다. 그 공 안에 색(色)이 있는 것입니다. 결국 색의 본질은 공인 것입니다.

사진(寫眞)은 빛에 반사된 현실의 대상을 베끼는 것 입니다. 작품 속 풍경은‘현실’을 재현했지만‘비현실’적인 재현으로 보여집니다. 그것이‘비현실’로 인지되는 것은 우리의 고정관념에 자리한 가시광선으로 인식되는 풍경이 아니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눈으로 인식하지 못할 뿐, 존재하는 태양으로 부터 현실 세계에 내려온 빛의 반영을 재현한 것입니다.

자연의 빛 중에서 인간이 볼 수 있는 빛인 가시광선(可視光線, Visible Rays) 영역이 아닌 붉은색 바깥쪽의 적외선과 보라색 바깥의 자외선(Ultraviolet Ray, 紫外線)등은 인간은 눈으로 인식할 수 없는 광선(Ray)이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자연광입니다.

작품속 풍경은 인간의 손길이 닿아‘조경(造景)’이된 공원의‘차별(差別)’된 풍경과 자연 스스로의 힘으로 일궈낸 ‘무차별(無差別)’의 풍경입니다. 비슷한 공원 풍경을 적외선이라는 인간은 볼 수 없는 광선의 힘으로 그려낸 일상의 풍경을 새로운 시선으로 보여줍니다. 일상의 현실적 풍경이 비현실적인 풍경으로 낯설어 보이지만 그것이 현실 풍경 속 풍경에 숨어있는 또 다른 현실임을 우린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철학적으로‘본다’라는 것은‘인식한다’의 의미입니다. 볼 수 있고 그것을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고 표현 할 수 있는 것은 신의 축복일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시각은 보여지는 사물(事物)의 모습에만 집착한 나머지 나타나지 않는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는 지엽한 시각으로 전락하게 되었고, 사물의 본질을 깨닫지 못한채 보여지는 것에만 의존하게 되어, 결국 시각적 으로 나타나는 현상만이 진실이라는‘무지(無智)’를 신앙(信仰)하게 되는 오류에 침식되었습니다.

우리가 세상을 즉흥적 감각에 의존한 시각만이 아닌, 다양함을 이해하는 안식(眼識, Light sense)을 갖고,‘어린 왕자’와 같이‘마음의 눈’으로 대상을 바라볼 수 있다면,‘현실의 빛’과‘비현실의 빛’이 상충(相衝)하는 풍경이 아닌, 대상을 소유의 가치가 아닌 공존의 존재로 모두 아우를 수 있을 것 입니다.

이은종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