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2014.10.08 21:09

After Dada

조회 수 637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Rat. Waehol. Lichtenstein. Perilous Zone-100x15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Cow. Indoor Space. Poisoning-66x10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Tiger. Tablets. Capa. Poisoning-100x15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Rabbit. Blue Bird. Robinson. Evil Conduct-100x15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Dragon. Waste Oil. Hiroshige. Escape-66x10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Snake. Blast. Fukusai. Falseness-100x15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Horse. The Earth. Degas. Contamination-85x13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Lamb. Popular Stars. Path. Fiction-100x15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Monkey. Popcorn. Manet. Appropriation-66x10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Chicken. Styrofoam. Pissaro. Fake-85x13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Dog. Asbestos. Millet. Sowing-66x10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Swine. Garujigee. Manet. Sexual Desire-85x130cm
  • ⓒDong-Hwan Bang 방동환, After Dada
    The Last Supper-100x196cm

After Dada

DongHwan Bang

With the grace of contemporary science we have long have been able to relish material civilization. But I intend to present the chaos and conflicts of this through 12 animal images. Each may appear detached from daily life, but the materials I used are common. The theme of the work is revitalizing waste through circulation - I revitalize things discarded by humans, such as steel, concrete, plastic, Styrofoam, waste oil, glass, asbestos, imitations, and electrical components.

For each one I purchased materials to be used as objects, and created 12 animal models from silicon molds, then finally photographed them all. For me, photography involves preparing objects, organizing sets, and any chance occurrence, before I release the camera shutter. Like a writer eventually embarking on a story after conceiving an idea, and gathering materials.

I completed each photography process in my studio. There I made a house, trees, bridges; I used many common materials to create unique atmospheres. I also used waste oil, asbestos dust, and fire, which threatened my safety during my work! Sometimes though, I was disappointed at the results, but sometimes, unexpected outgrowths inspired me greatly. I completed this work through countless attempts and repeated failures.

For this work I have appropriated the 12 Ghanzi (Stem-Branch) animal-images from Chinese character culture, pop-star images, and work by Jean Francois Millet. Also work by Pierre Bonnard, Vincent van Gogh, Edgar Degas, Edward Manet, Camille Pissaro, and Leonardo da Vinci, and images from Japanese woodcut prints, to create a stage, show the diversity of our desires, and predict the unstable future of our world, and our destiny.

The camera is in the center of my desire. I always desire through the camera. However, I have made efforts to create photographs stimulating my thought, not photographs that look merely beautiful. I explore new possibilities, new techniques, and formative images, playing with the camera. I don’t want my work to be fully understood by viewers. That is why only a photo cannot account for all of complicated human psychology. Just as music is only for listeners, viewers can grasp the message my photographs convey. I also intend to get my own manner and viewpoint in an uncertain state.

After Dada: Evolution of ‘Tagg+Burgin+Bang’ Form

By Taek-un Nam, Video Culture Critic

Bang Dong-hwan wanted to call this solo show of his After Dada - Dada being that early 20th century movement blurring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art – as his new photographs show a new way. Where many artists confine their expression, and present it as significant, this exhibition is Bang’s attempt by them to get away from such consistency. But change in his work could be uneconomic, as viewers might get confused…. Anyway, the change in his work this exhibit accommodates social satire, and critique of civilization, rather than aesthetic beauty or technique.
Recent social events, serial murder incidents, and TV dramas like Beethoven Virus, and Brilliant Inheritance, reflect our cultural standards. We are trained by them, for economic, political reasons, derived from the world economic crisi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or conflicts between progressivism and conservatism. We always seem ready for a crisis, or some unidentified concept. But such dynamic, social, political, economic, and mass cultural phenomena can work positively in ou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Bang Dong-hwan focuses on this point by grafting new theories onto his previous methods.
It was the second time that postmodernism shed light on the medium of photography in the art world. Previously, photography was used for silk screen and printing like popular culture. It was seen as an indicator in conceptual art. It might be more proper to seCow, Indoor Space, Gogh: Imitatione work of Cindy Sherman as part of contemporary art, not as photography. Photography is now more aptly seen as part of video culture. More artists and theoreticians try to see art or, especially photograph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theory or cultural history. Photography is one of two-dimensional art genres, and a medium applied for the Internet and digital publishing, and easier to produce than painting and sculpture. It is also a system sharing objective facts and a comparatively liberal language that is not confined to any established structure and paradigm.
John Tagg and Victor Burgin’s assertions are added here. John Tagg claims that in photography copying objective facts is also a sort of picture form not free from the motivation and system of production, and an apparatus to work for a limited purpose in a specific context. He continued photographers intend to raise the issues of reproduction and history of representation, and progressive literature is our efforts to re-read the same texts and scriptures. Victor Burgin stresses that high-brow art has been in the domain of autonomous activities detached from social and everyday life, and aimed to enhance and protect humanistic value from inhuman technology.
Bang Dong-hwan’s work appears subversive, showing the possibility of presence and change. He has used theory developed by John Tagg and Victor Burgin in his Tagg+Burgin+Bang form, offering meaning to Korean socio-cultural issues through new technology. Refusing originality, authenticity, and fetishism, Bang appropriates work by Pierre Bonnard, Vincent van Gogh, Edgar Degas, Edward Manet, Camille Pissaro, and Leonardo da Vinci. Also images of pop stars, and images from Japanese woodblock prints. Bang shows his works as something reproducible, without the loftiness of work in museums, so they present alternatives to genuine works, echoing Jacques Derrida’s concept of ‘difference’. And so, in Bang’s work, difference transfers new meaning, through time.
Bang’s photographs reconstruct masterpieces within a contemporary Korean context. Rat, Warhol, Lichtenstein: Perilous Zone, shows Pierre Bonnard’s The Breakfast Table as primary motif, with versions of Roy Lichtenstein’s Happy Tears, Andy Warhol’s Self-portrait, and Che Guevara in the background. While Bonnard beautified life and middle class memories, this presents a deconstructed interior scene, where the rat is a metaphor for contemporary homes that mix cruelty and destruction. Such an interior also appears in Cow, Indoor Space, Gogh: Imitation, where a bandaged cow is presented like Vincent van Gogh, to criticize the falsity of art and artists. Tiger, Tablets, Capa: Poisoning, referring to Robert Capa’s Spanish Loyalist at the Instead of Death, shows a solider as an imitation tiger, falling down after being poisoned with medicine. A tree nearby with tables suspended like fruit in darkness symbolizes barren nature and mass-produced medicine. And Lamb, Popular Stars, Path: Fiction, presents cited work and materials like a bibliography.
Bang connotes subjects through imitated objects, providing intoxication by fiction and mass culture. For Bang photography is “a means to present a finite purpose,” as John Tagg stated. He also “constructs social reality through the technology of visual representation and signification form,” as Victor Burgin asserted. Altogether, Bang Dong-hwan attempts and suggests a new way for contemporary photography.

After Dada

방동환

현대 과학과 인류 문명의 발달이 풍요를 생산하고 물질 만능이 이루어진 현대 사회의 혼돈과 갈등을 시간과 방위를 나타내는 열두 가지 동물상으로 우리시대에 윤리 의식을 살피고자 한다.
이번 작업은 무생물로 보이는 폐기처분 된 쓰레기를 순환의 과정을 거쳐 생명을 불어 넣는 작업으로 주제를 정하고 구상과 오브제로 사용할 재료를 구입, 몰드를 제작하여 실리콘 모형으로 십이지상과 조형 이미지를 만들어, 세트를 제작 촬영에 들어간다. 나에게 작업은 셔터를 누르는 순간이기 보다는 구상과 오브제 준비과정, 세트제작 그 모든 시간이 내겐 바로 사진작업이다. 이것은 작가가 글감을 구상하고, 구상이 끝나면 자료를 모으고, 자료가 준비되면 그때서야 원고지 앞에 앉는 것과 같은 과정이다.
이 모든 작업은 나의 창조공간인 작업실(공장)에서 이루어졌고, 집, 나무, 교각등을 만들고 알약, 유리, 철, 콘크리트, 모조품, 석면가루를 이용해 분위기를 연출했다. 폐유 냄새가 진동하고, 석면가루와 불(火)이 날리는 위험한 순간도 있었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처음 구상했던 작업방식이나 결과물이 실망스러울 때도 있었지만 뜻하지 않은 결과물은 종종 내게 새로운 영감을 주기도 했다. 헤아릴 수 없는 실패와 시도를 거듭하며 이번 작업을 마쳤다. 일상과 동떨어져 보일수도 있는 작품들은 모두 일상의 테두리 안에서 발견한 것으로부터 시작, 인간에 의해 선택되거나 만들어지고, 결국에는 인간에 의해 버려진 것들. (철, 콘크리트, 스치로폼, 플라스틱, 폐유, 유리, 석면, 모조품, 전자부품…….) 소모된 물건들을 재창조하는 것이다.
한자문화의 상징성을 지닌 십이지상을 명화에 차용, 극동지방에서 활용되었던 십이지상과 60갑자를 이용한 운명과 세상의 안위를 점쳐 보는 것은 불안한 미래에 대한 예언이었다. 나 역시 내 작품에서 그 의미를 담고, 과거 스크린속의 대중스타 그리고 밀레, 드가, 마네, 보나르, 고호, 로빈슨, 피사로, 다빈치의 작품들과 일본의 목판화 들을 차용하여 무대를 연출한다. 순환과 현대인의 욕망의 다양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 시대의 카메라는 욕망의 중심에 서 있다. 나는 늘 사진으로 욕망한다. 그러나 나는 언제나 아름다운 사진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할 수 있는 사진을 만들려고 노력했다. 장기 두는 사람이 장기를 가지고 유희하듯, 나 또한 사진기를 가지고 유희, 새로운 가능성, 새로운 술수를 탐색, 개연성에서 비개연적, 정보적인 영상들을 추구하고, 내 작품을 보는 이에게 완전한 이해를 바라지 않는다. 복잡한 인간 심리를 단 한 장의 사진으로 대신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음악이 절대적으로 듣는 이의 몫이라면 내 사진에서 전해지는 메시지 역시 보는 이의 몫이다. 나 역시 불확실함 속에서 나 만의 방식과 시각을 얻고자 했다.

After Dada; Evolution of 'Tagg+Burgin+Bang' Form
다다를 모방하여; 택+버긴+방’형식으로 진화하기

남택운(영상문화평론가)

방동환은 이번 사진도 다시 새로운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다이내믹하면서도 아방가르드적인 정치경제와 사회적 사건 그리고 대중문화 현상들이 새로운 예술 형태를 이해하는 데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방동환은 놓치지 않았다. 이전의 방법론들을 세탁하면서 새로운 이론들은 접목하여 자신의 작품에 저장하였다. 미술사 속에서 다다는 처음으로 현실과 미술의 경계를 허문 예술운동이지 않은가. 사진이 미술계에 두 번째로 조명된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이다. 이 두 번째는 첫 번째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첫 번째는 팝아트에서 사진을 전사나 실크스크린, 인쇄처럼 대중문화적으로 이용하였던 것이다. 물론 다다의 실험실에서 드러났던 것을 증폭시킨 것이다.

방동환의 이번 작품들에서 전복(subversive)적으로 보이는 것은‘현전(presence)’의 존재가능성과 변화의 가능성을 보게 하기 때문이며, ‘택+버긴’의 이론이 ‘택+버긴+방’형식으로 진화되어 한국의 사회문화적인 재현의 문제를 새로운 테크놀로지로 의미화하기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는 독창성, 유일 무이성, 진품성 등의 물신성을 부인한다. 보라르, 고호, 로빈슨, 드가, 마네, 피사로, 다빈치의 작품들과 대중스타 그리고 일본의 목판화 들을 차용하여 미술의 자율적 보존성을 대비시킨다. 그러므로 이 작품들은 미술관 속에서만 고고하게 자리하는 것이 아니라 재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드러내준다. 그리고 이 작품들은 진품들과 차이나는 것만이 아니라 데리다의 ‘차연’을 드러내고 있다. 차이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새로운 의미로 전이되는 것을 말하는데, 그의 사진은 한국의 맥락 속에서 다시 읽기를 하여 한국적 명화로 구성하기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방동환의 ‘After Dada’는 제목에서도 새로운 형식을 나타내고 있다.「양. 대중스타. 길; 허구」에서 처럼 인용되고 있는 작품이나 소재를 참고문헌처럼 배열한다. 또한 모조물을 등장시켜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상징처럼 함축하며, 이것이 배치되면서 허구와 대중문화의 중독이라는 의미를 만들어낸다. 이는 사진에 관하여 택이 말한 ‘한정된 목적을 나타내기 위한 도구’로 보고 있는 것이며, 버긴(Victor Burgin)의 주장처럼 ‘사회현실을 시각적 재현의 테크놀로지와 의미화 형식들로 구성’하기를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방동환은 현대사진의 글쓰기 방식을 모험하면서 다시 제안하고 있다.


?

위로